사이먼 텡(Simon Teng)
09:30 - 10:00
Architecture Transition for Software Defined Vehicle
Simon Teng, Senior Director, Automotive LoB, APAC | Arm자동차 산업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을 실현하기 위해 EE 아키텍처 및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전환을 거치고 있습니다. SDV 실현에서 중요한 네 가지 요소는 산업 협력, 표준, 현대적 방법론 및 차량 시뮬레이션입니다. 키노트에서는 당면과제 및 솔루션, 그리고 아키텍처 전환에 대한 Arm의 기여에 대해 다룹니다.
조정우(Jungwoo CHO)
10:00 - 10:30
How Virtualization Can be an Enabler for the Automotive OS
Jungwoo CHO, Country Manage | Elektrobit Automotive Korea
In this presentation, we discuss the role of a bare-metal hypervisor such as the EB corbos Hypervisor in abstracting vehicle resources and allocating them to clusters of vehicle functions in a software-defined vehicle (SDV). In addition, it highlights how a bare-metal hypervisor helps to maintain the quality, safety, and security of an automotive OS and SDV as a whole.
키노트에서는 EB corbos Hypervisor와 같은 베어 메탈 형식의 하이퍼바이저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에서 차량 리소스를 추상화하고 차량 기능에 할당하는데 있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논의합니다. 특히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가 자동차 OS 및 SDV 전체의 품질, 안전 및 보안을 유지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 |
이향 행정사무관 교통물류실 첨단자동차과, 국토교통부 Keynote: 자율주행과 미래 모빌리티 정책방향 |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 전환을 지원하는 총괄 부처로서 국토교통부의 정책 방향 소개
![]() |
박용현 이사 Automotive Embedded,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Capital을 활용한 MBSE 기반 EE 시스템 개발 - 효율적인 Network 설계 및 AUTOSAR 기반 ECU 개발 솔루션 |
(현)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 E/E 시스템 개발 툴 및 AUTOSAR 제품 기술 지원
(전) NXP
- i.MX Application Processor 기술 지원
(전) LG전자
- 차량용 Navigation 소프트웨어 개발
전기차, 커넥티드카, 자율주행차 등의 기술 트랜드에 따라 차량 아키텍처의 규모와 복잡성이 급격히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최신 E/E 아키텍처의 복잡성으로 인해 많은 제조업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기존의 노동 집약적인 방식으로 차량을 설계하고 검증하기가 매우 어려워졌습니다. 때문에 자동차 및 상용차 OEM은 MBSE(모델 기반 시스템 엔지니어링)와 디지털 스레드를 활용하여 이러한 증가하는 복잡성에 대처할 수 있도록 아키텍처 설계 프로세스를 발전시켜야 합니다.
본 세션에서는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E/E 시스템 개발에 최적화된 Capital 제품의 포트폴리오와 함께 MBSE가 현대 자동차 및 상용차의 점점 더 정교해지는 E/E 아키텍처를 개발하기 위해 어떠한 중요한 기술들을 제공하고 있는지 소개합니다. 또한 Capital E/E 아키텍처 개발 플로우가 AUTOSAR 기반의 ECU 개발에 어떻게 활용되는지와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AUTOSAR 베이직 소프트웨어의 기능들을 함께 살펴봅니다.
![]() |
이호재 부장 Marketing Manager, Automotive Korea, STMicroelectronics Power supply solution of domain controllers for autonomous driving |
ST Korea Automotive 팀에서 Smart Power Solution 제품 Marketing 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자율 주행을 위한 중앙 집중식 아키텍처인 Domain Control Unit에서는 기존 분산형 ECU보다 높은 컴퓨팅 용량이 필요하여 Multi core GPU/MCU를 사용하고 있으며 HW/SW Redundancy를 갖춘 높은 수준의 안전성을 갖춘 system design도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Domain Control Unit 시장의 요구에 따라 ST는 전원 이중화를 위한 Hot Swap & Oring IC, 고효율 전원관리를 위한 Buck-Boost, Digital Multi Phase Controller, Smart Half-bridge device를 개발하여 주요 자율 주행 관련 고객들과 협업하고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Autonomous driving DCU를 위한 Power supply solution을 소개합니다.
![]() |
정성훈 상무 Arm Korea 자율주행 기술의 대규모 상용화 - 효율적인 컴퓨팅과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을 통해 구현 |
정성훈 상무는 Arm 기술과 제품의 전개 및 활성화에 2006년부터 활동하여 왔으며, 주로 국내 고객사의 Arm 기술의 성공적인 도입과 활용을 위해서 Arm 한국지사의 필드 애플리케이션 팀을 2012년부터 이끌고 있다. 이기종 컴퓨팅 기반 시스템 디자인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모바일, 엣지 디바이스 솔루션, 오토모티브, 인프라스트럭처까지 big.LITTLE 모바일부터 엣지 디바이스 솔루션까지 제한된 전력 비용 하에서 최고의 성능 효율성을 위한 솔루션을 제안하고 있다.
전 세계의 안전 규제 당국은 교통사고의 수와 심각성을 줄이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도구로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안전 요건들은 곧 2024년에는 거의 모든 신차가 기본적인 수준의 자율주행 능력을 갖추어야 함을 의미할 것입니다. 안전 규제 외에도, 자동차 구매자들은 더욱 편리하고 편안한 여정을 위해 새로운 ADAS 및 자율 주행 기능들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ADAS 및 자율주행 파이프라인 구조 측면에서 각 부분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컴퓨팅이 필요한데, 이러한 컴퓨팅은 모두 효율적이고 고성능이며, 기능 안전성이 구현되어야 합니다. ADAS 및 자율주행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Arm의 SOAFEE 이니셔티브와 함께 텔레칩스 솔루션의 사례 연구를 소개합니다.
![]() |
이수인 그룹장 미래전략그룹, 텔레칩스 자율주행 기술의 대규모 상용화 - 효율적인 컴퓨팅과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을 통해 구현 |
이수인 상무는 텔레칩스에서 미래전략그룹장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상품기획, Product Marketing, 생산기획 및 테스트 전략을 총괄하고 있다. 엔지니어링 및 마케팅 기반의 경험을 바탕으로 나날이 발전해가는 차량용 반도체에 대한 전략적 기획, Foundry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한 공급 안정화 이행을 실현하고 있다.
자율주행 시대가 도래하면서 차량용 AI 반도체가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완성차마다 자사의 E/E 아키텍처에 특화된 AI 반도체 내재화 또는 협력을 추구함에 따라 차량용 AI 반도체 회사들도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본 세션은 자율주행용 AI 반도체 개발에 대한 시장현황, 경쟁 구도 및 문제점, 그리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풀어가는 텔레칩스의 자율주행 반도체에 대한 로드맵을 소개합니다.
![]() |
김현성 차장 Automotive & Energy Solution,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 5G-V2X 테스트 도전과제 |
김현성 차장은 현재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의 Automotive & Energy 팀에서 C-V2X, e-Call을 비롯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 중이며, 자동차 무선 분야의 솔루션 전문가로서 효과적인 테스트 자동화 및 테스트 최적화를 위한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V2X는 보다 안전하고 에너지 효율적이며 편리한 운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부 OEM 및 정부 기관에서 IEEE 802.11p DSRC 기반의 ‘차량 대 차량 (V2V)’, ‘차량 대 인프라 (V2I)’ 및 ‘차량 대 도로변 장치 (V2R)’ 통신의 이점을 활용하기 시작하는 동안 C-V2X가 빠르게 부상하고 있습니다. 본 주제에서는 최신 C-V2X 기술과 시장 및 표준 동향을 소개하고 5G NR 및 기타 기술과 5G C-V2X 설계 및 테스트 과제의 몇 가지 예를 제공합니다.
Precise positioning makes advanced navigation and autonomous driving a reality
![]() |
배영준 부장 Application Marketing-Automotive, u-blox Korea |
유블럭스 한국지사에서 Application Marketing-Automotive 담당으로 근무중이다.
![]() |
박성진 이사 FAE Team Leader, u-blox Korea |
유블럭스 한국지사에서 Field Application Engineer Team Leader로 근무 중이다.
Precise positioning is at the heart of the transformation of our navigation system as well as it becomes of paramount importance when more and more advanced autonomous functions are integrated in the vehicle.
As such, this presentation provides an overview of the navigation and autonomous vehicle applications that requires more and more precise and trustworthy position of the ego vehicle but also of all the objects in the vicinity. Typical architectures trends seen in the industry and their challenges will be also discussed. A presentation of the technologies that can be used in order to achieve precise position in several environments will be also given in particular focusing on GNSS based positioning, sensor fusion, dead reckoning and augmentation services together with some results that show the performance. Discussion about the importance of specific features related to cybersecurity will be also discussed. We’ll then conclude the presentation by summarizing how those technological evolutions are transforming vehicle navigation solutions and how they are contributing to making autonomous vehicles a reality.
![]() |
다르샨 메타(Darshan Mehta) Product Manager, Tektronix Automotive Solutions Group Automotiv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
텍트로닉스는 통신, 컴퓨터, 반도체, 소비자 전자 제품 산업에 테스트 및 측정 솔루션을 제공하는 세계적인 계측기 공급 회사입니다. 1946년 설립되어 지난 75년 동안 전자 산업 분야의 가장 상징적인 기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해왔으며, 그 중에서도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분야에서 독보적인 명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RF, 시리얼 버스,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등을 다루는 고객들이 차세대 제품을 개발하고 더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설계할 수 있도록 측정,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미국 오리건 주 비버튼에 본사를 둔 텍트로닉스는 현재 21개국에 지사를 두고 있으며, 한국텍트로닉스는 서울 삼성동에 사무실을, 전국 11개 도시에 공식 대리점을 갖추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차량은 새로운 아키텍처, 더 빠른 유무선 및 RF 표준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자동차는 100대 이상의 컨트롤러 장치를 보유, 차세대 자동차에는 더 많은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네트워킹 아키텍처 도입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Domain / Zone 컨트롤러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이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 차량 내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논의합니다. 또한, 이러한 진화에 필요한 테스트 과제 측정 요구사항을 살펴봅니다.
키리스(Keyless) 차량 액세스 및 자동차 레이더 측정 요구사항에 사용되는 초광대역(IEEE 802.15.4z)과 같은 무선 및 RF 표준에 대해서도 살펴봅니다. 이러한 표준에 대한 테스트 사례를 보면서 직접 엔지니어가 직면할 수 있는 테스트 과제를 살펴보겠습니다. 그 외에 다음과 같은 부분을 학습합니다:
![]() |
노경현 대표 브이웨이 자율 주행 차량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STPA 기반 안전 분석 방법 |
자율 차량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안전 분석을 통해 안전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그러나 기존 FMEA, FTA를 이용한 안전분석은 자율주행에서 발생하는 컴포넌트의 상호작용, 차량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컴포넌트 상호작용, 인간과 차량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원을 분석하는 STPA 방법을 살펴봅니다.
![]() |
모리츠 노이키르히너(Moritz Neukirchner) Head of Software Architecture, Elektrobit Automotive Automotive OS – What is it, why do I need it, and what does it take to build and operate it? |
모리츠 노르키르히너(Moritz Neukirchner)는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oftware-defined vehicle)을 제작하고 자동차 산업에서 소프트웨어의 가치 창출을 혁신하는 데 열정을 쏟고 있다. 일렉트로비트의 Classic 및 Adaptive AUTOSAR 제품 라인의 아키텍처 총괄로서 그는 기능안전 및 보안에 관한 멀티코어 ECU에서 고성능 컨트롤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솔루션을 구축했다. 모리츠는 브라운슈바이크(Brownschweig) 대학에서 전기공학을 공부했고, 실시간 시스템(real-time system) 분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Automotive OS는 자동차 도메인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하지만 Automotive OS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어떤 가치를 가져다 줄까요? 그것을 만들고 작동시키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본 세션에서는 Automotive OS의 기본 사항과 이것이 업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합니다.
![]() |
김경현 매니저 Head of Customer Center Korea, Elektrobit Automotive Korea How to achieve fast, flexible, and secure in-vehicle communication for next-generation vehicles |
김경현 매니저는 일렉트로비트 오토모티브 코리아에서 AUTOSAR관련 제품에 대한 기술 및 고객 지원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내 및 Global OEM, Tier 1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EB tresos (classic AUTOSAR), EB xelor & EB corbos (adaptive AUTOSAR) 및 EB zentur (HSM) 제품군에 대한 한국 고객의 니즈에 맞는 기술 지원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자동차가 소프트웨어 중심의 전자장치로 변화해감에 따라, 소프트웨어가 자동차의 성능과 수익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SDV (Software Defined Vehicle, SW 정의 차량)는 소프트웨어 관련성이 높아지고, 복잡성 또한 높아집니다.
업계를 선도하는 일렉트로비트는 영역 기반 아키텍처(Zonal Architecture)로의 변화에 따른 차량 내 네트워크의 새로운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본 세션을 통해 리소스를 절약하면서도 빠르고 유연하며, 안전한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진용하 차장 FAE, Automotive Korea, STMicroelectronics STELLAR next generation MCU for new vehicle architectures |
자동차 Tier-1에서 수년간의 ECU 개발을 담당하였으며 현재 ST에서 Automotive 32bit MCU의 FAE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ST MCU의 기술 지원 및 H/W, S/W의 trouble shooting을 주로 담당하고 있습니다.
현재 자동차 E/E 아키텍처는 경량화, 에코-프렌들리, 커넥티드 카와 같은 메가 트렌드와 함께 급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새로운 사양의 고성능 MCU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요구를 완벽하게 고려해 설계된 ST의 Arm® 기반 스텔라 제품군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 |
권재순 FAE, MDG Korea, STMicroelectronics NFC Reader antenna design and test for Automotive application |
ST MDG Korea에서 NFC Product에 대한 technical guide 및 support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본 세션은 Automotive application을 위한 NFC reader antenna design과 test에 대해 소개합니다.
STMicroelectronics의 Antenna Matching Tool을 이용하여 기본 matching circuit을 구성하고, 다양한 application에 적용할 수 있는 guide를 소개합니다. Matching impedance와 register 변경을 통해서 output field 세기를 최적화할 수 있고, test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NFC Reader의 다양한 기능도 소개합니다. STMicroelectronics는 여러 업체에 Automotive Console과 door을 위한 NFC reader chip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 NFC 제품에 대한 다양한 technical point와 기능에 대해 소개합니다.
![]() |
타룬 숌(Tarun Shome) Product Management Director, BlackBerry IVY Accelerate your Software-Defined-Vehicle strategy utilizing both EDGE processing and cloud functionality |
타룬 숌(Tarun Shome)은 Blackberry IVY 제품 관리 책임자이다. 그는 모바일 및 IoT 솔루션 전반에 걸쳐 기술 및 제품 관리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 BlackBerry IoT 사업부에 합류하기 전에 타룬은 EMEA(유럽, 중동, 아프리카) 및 APAC(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기술 제품 관리팀을 이끌었다. 현재 그는 AWS와 공동 개발한 확장 가능한 클라우드 연결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BlackBerry IVY에 집중하고 있다. 이 플랫폼을 통해 자동차 제조사들은 개인 맞춤 경험을 제공하고 연결된 차량의 작동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웨비나에서는 차량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BlackBerry IVY의 개요를 제공합니다. BlackBerry IVY는 OEM 및 자동차 Tier 1이 글로벌 개발자 생태계와 함께 차량 데이터 및 인사이트에 접근하고 처리하며 공유할 수 있는 안전하고 유연한 클라우드 제어 도구를 만듦으로써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비전을 실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IVY는 차량 내 시스템 전반에 걸쳐 신호를 표준화 하여 더 쉽게 통합하고, 개발 기간을 단축하며 더 의미 있는 차량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우리는 클라우드 기능의 이점을 실현하면서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며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IVY가 어떻게 EDGE 프로세싱을 활용하는지 다룰 것입니다. 또한, 차량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OEM이 제어하도록 하는 방법과, OEM이 더 광범위한 개발자 생태계와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비저닝 정책을 보여줍니다.
다음은 BlackBerry IVY가 자동차 등급 하드웨어에서 실행되는 플랫폼으로, 실시간 AI 기반 의사 결정을 내리고, 실제 자동차 대시보드를 통해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어떤 차량 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지 IVY 시연 영상을 보일 것입니다. HERE Technologies, Car IQ, Electra Vehicles를 비롯한 BlackBerry IVY 생태계 파트너들의 기술을 통합한 이 데모에서는 플랫폼을 통해 활성화할 수 있는 강력한 사용 사례를 여러 센서의 차량 내 데이터를 활용한 강화된 예측, 지능형 추천 및 차량 내 결제 기능의 형태로 제시합니다.
![]() |
유인철 솔루션 아키텍트 Customer Success 팀, 깃랩 자동차 소프트웨어 보안 점검 자동화 |
유인철 아키텍트는 20년 이상 소프트웨어 공학 도구 분야 회사에서 시스템 엔지니어 및 솔루션 아키텍트로 활동 했다. 요즈음은 도커를 이용한 오케스트레이션과 이를 지원하는 쿠버네티스에 관심이 많다. 깃랩에서 4년째 기술 영업을 담당하고 있으며, 목공과 배드민턴을 열심히 하고 있다.
깃랩은 하나의 도구를 통해서 개발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업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즉 이슈 관리부터 소스 버전 관리, 빌드, 배포 및 잠재결함에 대한 보안 점검까지의 모든 기능을 깃랩이라는 하나의 도구를 통해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가 점점 다양해지면서 특히 보안 관련된 잠재결함을 찾아내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업무가 되었습니다. 깃랩에서는 다양한 보안 점검 기능을 통해서 소프트웨어에 내재되어 있는 잠재결함이나 보안 취약점을 빌드/배포 과정에서 점검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보안 대시보드를 통해서 프로젝트별 및 그룹별로 발견된 잠재결함을 심각도 별로 볼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본 세션에서 보다 자동화된 보안 점검 플랫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마틴 카일(Martin Keil) Lead product owner: Embedded DEV Cycle, SDV Development Solution, ETAS GmbH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한 임베디드 SW 개발 프로세스 자동화 솔루션 |
마틴 카일(Martin Keil)은 비엔나 공과대학에서 전기전자공학 디플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이타스 본사에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자동화 솔루션 개발을 리드하고 있다. 이타스에 합류하기 전에는 보쉬 선행 기술원에서 17년간 SW 개발 툴 및 솔루션과 관련된 다양한 엔지니어링 프로젝트 업무를 수행했다.
최근 자동차는 기존의 운송 기계에서 첨단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모바일 전자기기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개념을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oftware Defined Vehicle, SDV)이라고 부릅니다.
SDV에서는 차량의 성능과 기능을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SW가 양산 이후에도 지속해서 업데이트되고 배포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연속적인 SW 통합, 배포, 테스트 환경을 통한 SW 개발 리드타임 단축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때 임베디드 SW 개발 관련해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개발 속도, 개발 환경 유지보수, 인증 및 공인 개발 과정, 신규 인력 교육, 양산차 업체 – 부품업체 협업, 가상화 그리고 양산 종료 이후 자료 보관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효율적으로 고품질의 임베디드 SW를 단기간 내에 개발 및 배포하는 데 필요한 것이 클라우드 환경을 이용환 개발 과정 자동화 솔루션입니다. 본 발표에서는 실제 활용 사례 및 라이브 데모를 통해서 이 기술이 어떻게 임베디드 SW 개발의 모든 과정에서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지 살펴봅니다.
![]() |
김태혁 박사∙매니저 사이버보안솔루션팀, 이타스코리아 Post-quantum cryptography in automotive industry |
김태혁 박사는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이타스코리아의 사이버보안솔루션팀에서 자동차 제조사들과 협력사들을 위한 ISO/SAE 21434 기반의 사이버보안 관리 체계(CSMS) 수립 컨설팅과 위협 분석 및 위험 평가(TARA)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 기존 컴퓨터 분야에서 다루기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양자 컴퓨터가 많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의 CSRC(Computer Security Resource Center)에 따르면, 일부 엔지니어들은 20년 안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공개 키 암호체계를 무너뜨릴 수 있을 만큼의 성능을 가진 양자 컴퓨터가 개발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NIST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2016년부터 양자 내성 암호 표준화를 시작했으며, 현재 Round3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양자 컴퓨터의 발달과 양자 내성 암호의 표준화는 기존의 차량 사이버보안 시스템에도 새로운 과제를 안겨주고 있습니다. 기존의 차량 사이버보안 시스템은 주로 공개 키 암호 체계에 기반한 디지털 서명과 인증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 컴퓨터가 야기할 새로운 위협과 이에 대응하는 적합한 양자 내성 암호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본 세션에서는 양자 컴퓨터의 발달이 현재의 공개 키 암호체계에 미치는 영향과 차량 사이버보안에서 공개 키 암호의 역할 및 양자 내성 암호의 표준화 현황 (NIST PQC Standardization Round3 Finalist)을 소개하고, 양자 컴퓨터 시대에도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한 해법을 살펴봅니다.
![]() |
김종헌 매니저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 기술지원팀, 로데슈바르즈코리아 Trends and test solutions for C-V2X |
Since 2013 Jonghun Kim has been application engineer responsib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test at Rohde & Schwarz. He had 15 years of experience in the wireless industry, including a master's degree, and had various roles such as system engineering, application development, and testing.
C-V2X offers tremendous potential through its ability to provide real-time information about hazards, other vehicles, and potential delays and congestion. Available data not only informs the vehicle of its immediate environment, but also warns potential hazards that are not currently in sight to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Therefore, C-V2X is a key technology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partially or fully autonomous driving towards Level 3 (and higher) functions as defined by th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SAE).
In this presentation you will:
![]() |
무랄리 나레이야난(Murali Narayanan) Advisor & Business Development Partner, Dallas Venture Capital, LLC 후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Connectivity solutions for emerging automotive applications |
무인 자동차, 증강현실 대시보드, AI로 조정 가능한 차량 속도, 가상 자동차 도우미, 자연스러운 음성인식, Wi-Fi 등은 소위 완전한 커넥티드 차량을 빠르게 진전시키고 있으며, 가까운 장래에 ‘운전(driving)’을 바라보는 관점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이 웨비나에서 Dallas Venture Capital, LLC의 고문이자 비즈니스 개발 파트너인 무랄리 나레이야난(Murali Narayanan)은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연결성(connectivity)의 진화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및 반도체의 융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자동차 산업의 현재와 미래의 유즈 케이스(use cases)를 안내합니다.
![]() |
최영석 대표 차지인 전기차 충전의 미래와 시장 현황 |
최영석 대표는 자동차 사고·분석 전문가다. 대학 3학년 때 경주용 자동차 부품 수입 업체를 창업했으며, 이후 레이싱카 부품 공급·튜닝까지 사업 영역을 넓히며 유명 모터스포츠 프로팀까지 운영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이후 차량용 데이터분석장비와 사고기록장치(EDR), 텔레매틱스 장비 등을 개발하여 완성차와 부품 제조사 및 관련 정부기관에 공급했다. 최 대표는 2014년 첫 시행된 서울시 전기차 민간 보급 1호 고객이며, 당시 전기차 충전 이용 시 불편했던 경험을 해소하기 위해 2016년초 직접 전기차 충전 및 에너지 플랫폼 전문업체인 차지인을 창업했다.
1부: 전기차 시스템을 위한 Rule 기반 PCB 설계 검증
![]() |
장성혁 상무 Electronic Board System, Siemens EDA |
장성혁 상무는 Siemens EDA의 Electronic Board Systems 팀에서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로서 PCB와 회로도 해석, 검증을 위한 HyperLynx, Valydate 제품 기술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2부: 사이버 보안 위협 탐지와 완화 - 새로운 하드웨어 기반 접근
![]() |
로버트 랜드(Robert Rand) 기술 이사 Tessent Embedded Analytics, Siemens EDA |
로버트 랜드(Robert Rand)는 Siemens EDA의 Tessent Embedded Analytics 부서의 솔루션 아키텍처 기술 부문 이사로, 10개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해리엇와트(Heriot Watt) 대학교 AI 부문 대학원에서 학위를 받았다. 울프슨(Wolfson)과 시러스 로직(Cirrus Logic) 재직 당시 수십 년간 주도하여 최고의 핸드셋 제조업체를 위한 저전력, 상시 작동 기술을 가능하도록 하는 여러 세대의 코어-엣지 컴퓨팅 아날로그 혼합신호 SoC 아키텍처를 주도했다.
자동차의 전동화에 따라 전자부품 사용이 증가하고 PCB 검증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PCB 디자인 품질을 높이기 위해 사내에 축적된 지식이나 IC 업체의 제안을 바탕으로 룰 기반 툴을 사용해 설계지침 위반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HyperLynx DRC를 통해 자동화된 방식으로 쉽게 PCB를 검사하는 방법과 고객사의 검증 사례를 소개합니다. 이어 전자장치가 보편화하고 상호연결되어 미션-크리티컬 해져가는 가운데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악의적인 행위자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할 필요성에 대해 알아봅니다. 사이버 보안 문제에 대한 소프트웨어 기반 및 암호화 솔루션이 확산되었지만, 달성할 수 있는 것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Siemens EDA는 표준 사이버 보안 아키텍처를 보완하는 하드웨어 기반 솔루션 Bus Sentry를 개발했습니다. 이 솔루션은 하드웨어 속도로 사이버 위협을 감지하고 이해하여 완화할 수 있습니다. 공격자가 이를 무력화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보안 지형에 심층 방어 요소를 추가합니다.
![]() |
로빈 왕(Robin Wang) 시스템 엔지니어, 오토모티브 시스템 부문, Texas Instruments Revolutionizing automotive battery management with TI wireless BMS(차량용 배터리 관리를 혁신하는 TI의 무선 BMS) |
로빈 왕(Robin Wang)은 텍사스인스트루먼트의 시스템 엔지니어로서 HEV/EV를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하드웨어 설계를 담당하고 있다. 로빈은 난카이 대학교에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학사 및 커뮤니케이션 엔지니어링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는 전기차(EV)의 필수 구성요소로서 효율성, 수명, 성능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이점을 얻기 위해 배터리 팩의 각 셀은 절연 CAN(Controller Area Network) 버스, 차동 데이지 체인 통신 또는 기타 독점 솔루션을 통해 온도, 전압 및 전류와 관련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보고합니다.
무선 솔루션은 배터리 모듈이 배터리 셀 정보를 BMS 마이크로컨트롤러(MCU)로 직접 전달하므로써 유선 통신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합니다. 하지만 무선 솔루션을 채택하려면 유선 시스템과 비슷한 성능이 요구됩니다. 본 세션에서는 TI의 무선 BMS 솔루션이 무거운 케이블을 독점 무선 프로토콜로 대체하여 안정성과 EV 주행거리를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 살펴봅니다.
![]() |
최영민 차장 FAE, Automotive Korea, STMicroelectronics VIPower & SPS SDA Product presentation |
현재 ST Korea Automotive 팀에서 body 제품군의 FAE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보호 기능이 내장된 전자식 스위치 High Side Driver와 전자식 퓨즈 기능이 내장된 STi2Fuse, 여러 모터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Motor driver, MCU와 센서의 전원 공급을 위한 LDO와 SBC 제품군을 소개합니다.
![]() |
김영곤 부장 FAE, PDSA Korea, STMicroelectronics Top side cooling이 가능한 ST power SMD 소자의 솔루션 및 성능 평가 |
ST 한국 지사의 Power and Discretes Korea팀에서 MOSFET, Diode와 같은 파워 스위칭 소자의 기술 지원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ACEPACK SMIT와 HU3PAK은 ST의 Top side cooling이 가능한 SMD 타입의 소자입니다. HU3PAK은 개별소자 형태로, ACEPACK SMIT는 DBC 모듈 형태의 패키지 구조를 갖습니다. 이들 소자 모두 PCB 표면에 실장되며 패키지 상단에 외부 방열판을 부착하여 소자의 열관리에 유연성을 더할 수 있는 ST 최신 패키지 솔루션입니다. ACEPACK SMIT와 HU3PAK을 통해 각 소자의 최대 가능 전력에 대한 최적화가 가능합니다.
본 세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ST의 최신 패키지 솔루션 및 그 성능에 대해 소개합니다.
![]() |
김진우 과장 FAE, Automotive Korea, STMicroelectronics ST BMS solution for xEV and Mild hybrid vehicle |
현재 ST Korea Automotive 팀에서 Power train & Safety system용 smart power IC 제품의 FAE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ST는 지난 2008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관리 기술 분야의 주요 파트너들과 BMS 비즈니스를 시작하여 전 세계 배터리 관련 고객들을 중심으로 ASIC 솔루션 개발 및 기술을 선도해왔으며, 그동안의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ASSP(Application Specific Standard Product) 제품인 L9963을 2020년 상반기에 출시하고 이와 함께 시스템 솔루션을 제안하면서 적극적으로 시장의 성장과 발맞춰 나아가고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ST BMS의 핵심 부품으로 Battery cell monitoring IC인 L9963 외에 Relay driver, Power management IC, MCU 등 BMS에 적용 가능한 ST Product solution을 소개합니다.
![]() |
박경은 박사 FAE, 테크니컬센터, 로옴 세미컨덕터 코리아 SiC power device solution for automotive application |
박경은 박사는 로옴 세미컨덕터 코리아 테크니컬 센터에서 Automotive 분야 기술 지원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다. 2021년 일본 동경공업대학에서 전기전자공학 반도체 소자 및 공정 분야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로옴 세미컨덕터 코리아에 입사해 High power device application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IGBT, SiC MOSFET 및 IPM 등 Automotive 시장의 High power device 솔루션 전반의 기술 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전 세계적인 탈탄소화 정책에 맞춰 빠르게 성장하는 친환경 전기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전기자동차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SiC를 기반으로 하는 파워 디바이스의 성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습니다. 로옴은 차세대 전력 변환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전력 반도체 제품군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군에는 전기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 필수적인 On-board charger(OBC), DC/DC 컨버터, 메인 인버터 등에 사용 가능한 IGBT, SiC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SiC MOSFET 등의 디바이스 솔루션이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고도화되는 전기자동차 성능에 맞춰 고내압, 고속 스위칭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전력 반도체 소자 특성과 주요 사항에 대해 신제품 로옴 4세대 SiC MOSFET의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차량용 전력 변환 애플리케이션에서 로옴이 제공하는 SiC MOSFET 디바이스 솔루션에 대해 설명합니다.
![]() |
채승엽 대표 주식회사 팝콘사 AUTOSAR Adaptive Platform의 최신 동향과 현황 |
기존 자동차의 진화를 위해, SDV (Software Defined Vehicle)를 골조로 한 AUTOSAR Adaptive Platform이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국내외 자동차 업계에서는 AUTOSAR Adaptive Platform R20-11을 기반으로 ECU 양산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AUTOSAR Adaptive Platform 기반의 SDV을 채택한 OS 브랜드로는 폭스바겐의 VW.OS, 메르세데스-벤츠의 MB.OS, 토요타의 Arene OS 등이 있습니다. 자동차 회사들은 자율주행 기능에서도 AUTOSAR Adaptive Platform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처럼 In-Vehicle App Store를 개설하여 3rd Party App 개발 시장을 새로운 SW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그 흐름을 소개하고 내용을 분석합니다.
![]() |
엄재홍 박사∙팀장 인공지능기술팀, 현대오토에버(주) 미래의 카(Car) 라이프스타일과 인공지능(AI) : “자동차, 컴퓨터와 AI를 만나다” |
엄재홍 박사는 인공지능 기술 응용 전문가다. 인공지능(AI)의 미래 가치에 일찍이 관심을 갖고 해당 분야에 뛰어 들었다. 인공지능 전공 석/박사 과정을 포함 약 20년 이상 인공지능 기술 연구·개발 및 주요 산업 응용 기술 개발 분야에 몸담고 있다. 대표적 유럽 국제 기초과학연구소인 Max Plank Institute를 포함해 국내 삼성, SK, LG, 현대차 그룹의 주요 계열사를 경험하며, 산업 현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업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개발을 진행해 왔다. SKT에서는 국내 최초 음성인식 스마트 스피커 '누구(NUGU)'를 함께 개발했으며, 현재는 현대자동차그룹 SW·IT 계열사인 현대오토에버㈜에서 자동차를 위한 인공지능기술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반) 자율주행 전기차를 직접 운행하며 매일 미래 카 라이프스타일의 긍정적 변화를 상상하고 있다.
대표적인 제조 기반 산업인 자동차 산업이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친환경을 모토로 한 EV로의 전환을 기점으로 자동차 H/W 플랫폼 자체가 변하고 있으며, 또한 기존과 다른 수준의 S/W와 컴퓨팅 요소들이 자동차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는 미래 자동차의 각종 S/W 기반 편의에서부터 운전 자체의 자동화인 자율주행, 자동차 엔터테인먼트 활용까지 많은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본 강연에서는 EV를 기점으로 한 H/W 플랫폼의 변화와 딥러닝 등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을 기점으로 한 자율주행 기술의 변화, 이 두 변화가 어떻게 융합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 두 변화가 만나 달라질 미래 카(Car) 라이프스타일을 예측해 보고, 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이 어떻게 미래 카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가속하는지 그 역할에 대해 폭넓게 함께 살펴봅니다.
![]() |
주병권 교수 전기전자공학부, 고려대학교 현재, 그리고 미래형 자동차에 발 맞추는 정보 디스플레이 기술 |
주병권 교수는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전자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8년부터 2005년까지 KIST 미래기술연구본부 책임연구원으로 일했으며, 2005년부터 현재까지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 교수는 산업통상자원부 미래디스플레이 핵심기술개발사업단 단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삼성디스플레이-고려대 디스플레이 연구센터 센터장, 산업통산자원부 한국주도형 K-Sensor 사업 총괄책임자로 활동하고 있다. 수상경력으로는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 최우수논문상(2000년), 공로상(2009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2016년) 등을 수상했다.
블로그 http://blog.daum.net/jbkist
현재, 그리고 미래형 자동차는 정보 디스플레이를 어떻게 활용할까? 그 활용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규격과 성능은 어떻게 발전되어갈까? 자동차 디스플레이의 진화, 시장의 성장, 이를 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기술의 발전과 경쟁, Direct-View와 Head-Up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그 답을 찾아가 봅니다.
![]() |
박주양 상무 Auto CAS, NXP Semiconductors Korea Car Electrical Architecture Trends from Domain to Zonal |
Jooyang Park has been CAS(Customer Application Support) Director at NXP Semiconductors Korea since 2015, and has the technical support responsibility for automotive processors. Prior to joining NXP, Jooyang Park was the FAE managing Director for Freescale Korea. During his 15 years at Motorola and Freescale, Jooyang Park spent time doing field engineering support for Automotive MCU & analog, Korea Automotive Lab. manager and Korea FAE manager supporting automotive, industrial and consumer applications with MCU, Processor, Analog and Sensor.
Many carmakers are exploring zonal electrical architectures to save wiring and reduce weight, but this type of architecture doesn't come without challenges, which the industry is adopting techniques to solve.
This presentation will introduce the concept of zonal architecture for vehicles, where functions are grouped by proximity. And we will discuss different approaches to and steps for adopting a zonal architecture, as well as the NXP products that play a role in this new vehicle architecture concept.
In this session, you will learn about those efforts, as well as the processing, networking and safety products that NXP offers in this exciting area of vehicle development.
![]() |
최영득 부장 Marketing Manager, Automotive Korea, STMicroelectronics Teseo Next Introduction for Positioning |
Teseo Next의 타깃 시장은 첨단 내비게이션 시스템, Safety 애플리케이션(ADAS, 자율 주행 및 eCall), 디지털 운행기록계와 5G 초소형 기지국, 택배 서비스, 상업용 및 소비자 드론과 같은 정밀 포지셔닝/타이밍 시장입니다. 본 세션에서는 Teseo Next의 주요 특징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 |
지준영 차장 FAE, MEMS Korea, STMicroelectronics Automotive non safety MEMS |
STMicroelectronics에서 MEMS sensor 기술 지원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Automotive non safety grade의 3축 가속도 센서, 오디오 가속도 센서, 6축 IMU ST MEMS 센서 제품들을 소개합니다. 각 센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발표 영상에서 전달하겠습니다.
![]() |
이규진 한국지사장∙Director Business Development, KPIT Korea 자동차 기술트렌드가 미친 검증자동화 전략의 변화 - eCockfit 중심으로 |
본 강연에서는 우선 자동차 기술 트렌드가 전체적인 검증 분야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전통적인 자동 검증 전략의 공통 문제점을 짚어봅니다. 강연에서는 자동차 기술 트렌드가 특히 자동 검증 분야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의합니다. 이어 KPIT의 통합검증 솔루션을 소개하고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합니다.
인간을 잇는 기술 -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 |
레이몬드 옌(Raymond Yin) 기술 디자인 디렉터,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 |
For over a decade, Raymond Yin has worked at Mouser Electronics as its resident Director of Technical Content. During his tenure, he has collaborated with many manufacturer brands, industry leaders and technology experts to develop the latest content on technology and applications. Managing and expanding Mouser's portfolio of content for new product introductions and technology trends, Raymond stays immersed in the electronic component industry and well-versed in the latest industry developments impacting Mouser's customers.
Earning his Bachelor of Science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in 1986, Raymond's 20 plus years in the electronics distribution industry, and 7 years as a design engineer, has given him a deep understanding of the capabilities of the latest components as well as the companies that produce them.
![]() |
모더 알로우(Modar Alaoui) CEO, 아이리스(Eyeris) |
Modar Alaoui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expert technologist and leading figure in computer vision AI for human behavior understanding, modeling and prediction. He is currently the founder and CEO of Eyeris, the worldwide pioneer and leader of In- Cabin Sensing (ICS) AI inside autonomous and Highly Automated Vehicles (HAVs).
Modar combines over a decade of experience in computer vision and applied human- centric AI for a wide range of enterprise applications. His work focuses on bridging human-machine interaction with predictive invisible interfaces through body, face, object and surface understanding AI. He is a frequent speaker and keynoter on "human-centric ambient intelligence" as the next frontier in AI. Modar graduated from Concordia University Montréal, with a concentration on Human Behavior Understanding (HBU)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He is a winner of several international technology and innovation awards and has been featured on Bloomberg, the Wall Street Journal, Wired, Time magazine, CNBC, Reuters, Fast Company and many major international media publica7ons spanning over 12 different languages for his work.
사고는 눈 깜짝할 사이에 일어날 수 있습니다. 2024년부터 신형차에 탑재될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Driver Monitoring Systems, DMS)은 대시보드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운전자의 졸음 및 부주의 상태를 판별하여 대시보드 라이트, 진동 시트 또는 오디오 경보 등으로 운전자에게 경고를 보내 주의를 환기시키는 첨단 안전 기능입니다. 실제로 DMS는 미국자동차공학회에서 제시한 레벨3와 레벨4 자율주행에 있어 필수입니다. 폭넓은 감지 프로그램에서 차세대 자동차 안전 표준으로 진화하는 DMS에 대해 알아보세요.
© AEM_Automotive Electronics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