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AS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원 공급 균형 맞추기 급작스런 부하 변동에도 정밀한 요구 전압을 공급하는 요건 만족해야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으로 자동차 운전은 더욱 안전해지고 있다. ADAS에 탑재된 카메라는 센서, 정교한 알고리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연동돼 운전자에게 도로 위 장애물과 사각지대를 알려주고 필요 시 스스로 제동을 거는 등 많은 일을 한다. ADAS 애플리케이션이 올바르게 작동하려면, 급작스런 부하 변동에도 매우 정밀한 요구 전압을 공급하는 요건을 만족해야 한다.
2018년 07월호 지면기사
자동 진단 검증은 로켓 과학이 아니다 단지 실행 가능한 기존 방안들을 활용해 결론을 맺는 것
앞으로 진단 기능 관련하여 고객들이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 사례가 생겨날 것이며, 아마도 진단 기능의 사용 빈도는 더 잦아지고 사용 범위는 더 넓어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진단 실행에 대한 품질 요구조건도 더욱 증가하고 까다로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작은 부품이 조향감에 미치는 영향 비용효율적인 방법으로 조향 진동 소음을 해결하는 방법
소음과 진동은 운전자가 차량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운전 중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소음과 진동(NVH) 특성을 분석하고 개선하는 것은 차량 품질 확보를 위한 자동차 제조사의 필수 과제이다.
Autonomous Vehicle Radar; 시뮬레이션을 통한 레이더 성능 향상
레이더 시스템은 안전하고 안정적인 차량 운행을 위한 중요한 센서 입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레이더 시스템이 간섭 없이 작동하고, 지향 범위를 모두 포함하며, 설치 효과를 완벽히 수행하고, 정확한 입력을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려면 첨단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을 사용해야 한다.
“ 실생활에 적용하는 서비스 기반 자율주행 개발하고 싶어” 판교제로시티 자율주행 실증단지 인프라 구축해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자율주행연구실의 목표는 만능의 자율주행 기술 및 자율주행을 위한 원천기술 연구개발이 아니다. 연구원의 설립 취지답게 다양한 융합기술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자율주행 기반의 서비스를 연구개발하자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 첨단 자동차 기술로 일자리 창출과 안전, 두 마리 토끼 잡는다” 자율주행차 TF팀 7개월 운영, 복잡한 의사결정 과정 줄이기도
우리나라 교통 정책과 기술을 총괄하는 국토교통부에는 ‘첨단자동차기술과’라는 부서가 있다. ‘첨단’ 자동차라고 하니, 우선 자율주행차, 수소자동차 등이 떠올랐다. 그렇다고 특별히 자율주행차과라고 칭하고 있지 않으니 분명 다른 업무도 있을 것 같았다.
소재업체, 미래 자동차에 동승하다 경량화, 미래 이동성의 강력한 추진력 제공
자동차 제조사들은 차량 경량화의 주요 동인인 새로운 배출가스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소재업체와 손잡고 혁신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자동차를 개발하고 있다. 소재업체들은 혁신적인 신소재 및 공정 개발을 통해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한계를 확장하고 있다.
편의성 안전성 UP 무게 DOWN 자동차 경량화, AI Mg CFRP HSS 주도
자동차 무게의 절반 이상 차지하는 차체와 섀시는 경량화의 핵심 영역이다.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이 2025년까지 자동차 무게를 20% 이상 줄이기 위해 혼합 소재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동시에 CO2 배출을 100g/km 이하로 저감하기 위해 파워트레인 전동화를 강력하게 밀고 있다.
더 커지고 더 가벼워지는 자동차 경량화, 지속가능한 이동성을 위한 필수 전략
새로운 파워트레인 콘셉트와 소비자 요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무게가 무거워지고 있다. 다이어트(경량화)는 연비 향상, 배출가스 저감, 섀시 수명 증가, 제동거리 단축, 핸들 조향 능력 상승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 내연기관, EV만큼 깨끗해질 수 있다”
마쯔다 가솔린엔진 ‘SKYACTIV-X’가 미국 뉴욕에서 개최된 2018 에디슨 어워드 ‘Engine Enhancements(엔진 향상)’ 부문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