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처 민·관협의체 ‘자율주행차 융·복합 미래포럼’ 발족
총괄위원회와 4개 전문 분과 총 80여명의 전문가들로 구성
2016-06-14 온라인기사  / 편집부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대를 대비하고 상용화 이후의 교통물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범부처 민·관협의기구인 '자율주행차 융·복합 미래포럼”이 6월 13일 발족했다.

자율주행차 융·복합 미래포럼은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정부 각 부처와 산·학·연 전문가들이 모여 자율주행차의 신성장 동력화와 자율주행차를 활용한 교통물류 혁신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하고, 신산업 창출을 위한 R&D·제도개선사항을 발굴하는 역할을 할 예정이다. 
또한, 자율주행차 사고 시 책임소재 등 인문사회적 고려와 사회적 공감대가 필요한 사항들에 대한 공론화 및 사회적 합의 형성을 위한 논의의 장으로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율주행차 융복합 미래포럼은 총괄위원회 산하에 기준·제도, 인프라·기술, 인문·사회, 비즈니스의 4개 분과위원회를 두고 있다.

각 분과는 15~20명의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되며 분기별로 회의를 갖고 분야별 주요 현안 이슈를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도 개선 및 정책 지원사항을 발굴한다. 
 
4개 분과별 주요 논의 분야는 ▲ 기준·제도: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각종 기준, 법·제도 개선사항 도출 ▲ 인프라: 자율주행차 운행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 중장기 R&D 로드맵 수립에 관한 논의(V2X, 자율주행기술 개발 등) ▲ 인문·사회: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따른 법적, 사회적 이슈 연구(윤리적· 법적 책임, 자율차로 인한 사회 변화 등) ▲ 비즈니스: 자율주행 기술을 이용한 각종 신산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에 관한 논의(자율주행 카쉐어링, 공공 교통 등) 등이다.

총괄위원회는 국토교통부 최정호 제2차관과 민간전문가 초대위원장에는 홍익대학교 황기연 부총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해 각 분과별 제안사항을 바탕으로 법·제도 개선사항 및 중장기 전략수립 등을 정리하여 정책을 제안하는 역할을 맡는다.

위원회 활동과 더불어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개 포럼도 반년에 한 번 이상 개최하여 자율주행차에 관한 논의의 저변을 넓혀갈 예정이다.

현재 포럼에는 총 80여명의 전문가들이 각 분과 및 총괄위원회의 위원으로 위촉되어 활동한다.



<저작권자 © AEM.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