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글로벌 모빌리티 콘퍼런스’ 9일 개막
현대차·BYD·JOBY 등 글로벌 기업과 국제기구 한자리에 ··· 자율주행·UAM·이동 기본권 논의
2025-09-08 온라인기사  / 윤범진 기자_bjyun@autoelectronics.co.kr

자율주행,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인공지능(AI)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이끌 핵심 기술이 서울에서 집중 조명된다. 국토교통부는 한국교통안전공단(TS공단), OECD 국제교통포럼(ITF)과 함께 9월 9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2025 글로벌 모빌리티 콘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 주제는 ‘함께 만드는 미래: 혁신으로 여는 새로운 가능성(Futures Together: Innovation for Unlocking Progress)’으로, 기술 발전과 이동 기본권 보장을 연결하는 정책 방향과 글로벌 협력 방안이 주요 의제로 다뤄진다.

첫날 기조연설에는 드미트리 마리야신 UNECE 사무차장과 송창현 현대자동차 자율주행플랫폼(AVP) 본부장이 나선다. 두 연사는 글로벌 모빌리티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자율주행 생태계 발전 전략, 지속 가능한 산업 구조에 대한 비전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세션에서는 ▲모빌리티 정의(Justice) 개념 창시자인 미미 쉘러 우스터 공대 교수의 사회적 격차 해소를 위한 모빌리티의 역할 ▲EU AI법 설계자이자 MIT 미디어랩 소속 가브리엘 마치니 박사의 기술혁신 리스크 관리 발제가 예정돼 있다. 이와 함께 비야디(BYD),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 등 글로벌 기업들이 자율주행·전동화·도심항공 분야의 최신 기술을 공유한다.

둘째 날에는 ▲동아시아 모빌리티 연구 협력(한·중·일 세션) ▲UN ESCAP-ITF 세션을 통한 개발도상국-선진국 간 국제 협력 논의가 진행된다. 오후 분과 세션에서는 ▲미래 모빌리티 안전 및 보험(삼성화재) ▲지속가능 물류 혁신(TS공단) ▲수요기반 모빌리티 서비스(대한교통학회) ▲모빌리티와 인문학(건국대) 등이 다뤄진다.

이번 콘퍼런스에는 현대자동차, BYD, JOBY, 3M 등 글로벌 민간기업과 함께 유럽혁신기술연구소(EIT), MIT, 우스터공대(WPI), 중국 교통운수부과학연구원(CATS) 등 주요 연구기관이 참여한다. 국제기구로는 UNECE, UN ESCAP, 아시아개발은행(ADB)이 합류해 모빌리티 혁신 기술의 글로벌 확산 전략과 표준화 과제를 논의한다. 
 


AEM(오토모티브일렉트로닉스매거진)



<저작권자 © AE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