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성능 향상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의 인기가 급상승 중이다. 반면에 자동차 회사에서는 차량에 맞게 통합된 IVNS(In Vehicle Navigation System)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카 내비게이션 시장이 커지면서 업체간 차별화 경쟁도 심화되고 있다. 지문인식 기능을 갖춘 제품을 통해 사용자의 선호하는 기능을 프로파일별로 제공하는가 하면 듀얼 안테나를 적용하여 시속 160km/h에서도 수신 가능한 TV 수신 기능 내비게이션도 출시되었다. 또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후방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기도 한다.
카 내비게이션으로서 PND와 IVNS 모두 운전자에게 주행 경로와 주변 교통정보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많지만, 각각 분명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수십만 원 대의 PND는 가격이 저렴하고 지도 갱신과 내장형 HDD, DMB 기능 같은 첨단 기능을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자동차에서 탈부착이 가능하여 휴대하고 다니면서 다른 차에서도 쓸 수 있다는 점도 큰 특징이다. 그러나 GP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터널 같은 장소에서는 무능화되는 경우가 많으며 고층 빌딩이 밀집한 도심 지역에서는 신호의 난반사가 일어나 신호 감도가 좋지 못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비해 차량 내부에 통합되는 IVNS는 순간 연비나 타이어 공기압 등을 확인해 주는 기능을 포함, 차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또한 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를 통해 자동차의 위치 및 주행방향, 속도 등의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따라서 PND에 비해 보다 정확한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아 안전 운전에도 이점이 있다. 반면, PND에 비해 고가이며 최신 기술의 반영이 늦고 지도 데이터의 갱신도 상대적으로 어렵고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변화의 동인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실용화될 당시에는 CD-ROM에 의한 지도 표시, GPS 기능 탑재에 의한 경로탐색, 음성안내 및 음성인식, VICS에 의한 정체 정보의 표시 등 카 내비게이션의 기본 기능 및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주력했다. 이후 카 오디오와의 통합, DVD 비디오의 재생, DMB 방송 수신을 제공하는 카 엔터테인먼트 기능 등이 추가되면서 다양한 음성 및 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기기로 변신했다. 지금가지 카 내비게이션 기기로서의 기본 기능과 성능은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다. 카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추가한 카 내비게이션은 그러나 계속해서 새로운 진화의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해 전세계 PND 판매 대수는 1천만 대를 넘어섰다. 이는 IVNS 판매 실적을 넘어서는 수치다. 정밀한 지도정보에 대한 수요가 낮은 유럽에서는 주차 중에는 카 내비게이션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탈부착이 가능한 PND 수요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반면, 정밀한 지도정보를 요구하는 나라에서는 CD에서 DVD, HDD 등 기록매체의 대용량화가 강조되어 PND에 대한 인기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PND가 IVNS보다 가격이 싸고 급속도로 발전하는 기술을 시의 적절하게 반영하면서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다. 더욱이 BRICs 등 신흥국가에서 PND가 저가격을 무기로 급속히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까지 카 내비게이션 내에서 비주류 제품 범주로 간주되었던 PND는 환경 변화에 따라 서서히 주류로 부상하고 있다. PND의 빠른 확산이 카 내비게이션의 제품 개발 개념을 크게 바꿀 것이란 기대와 함께.
지금까지 카 내비게이션은 기능 및 성능을 강화하면서 제품 가격을 유지하는 형태로 비용 대비 성능을 향상시켜 왔다. 그러나 앞으로 카 내비게이션 시장은 가격 파괴 바람이 뚜렷해질 전망이다. 결국 휴대 기기에 가까운 제품 개발 컨셉트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업계의 분석이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지금까지 카 내비게이션의 기능, 성능의 향상을 위해 고사양 일로를 걸어왔지만 앞으로 배터리 구동으로 인하여 소비전력 당 성능이 중시되는 방향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 또 기록매체는 HDD보다는 플래시메모리가 주류로 부상하고 디스플레이도 차내 뿐만 아니라 휴대해서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면서 소비전력을 낮추는 연구가 진행될 전망이다. 또한 PND의 이동성을 살려 일부 업체에서는 게임 기능 등을 탑재시키는 등 휴대 기기로서의 특징을 강화시키려는 움직임이 있다.
자동차 내부에 통합되는 카 내비게이션인 IVNS는 차내 정보처리 장치라고 하는 방향으로 진화해 가고 있다. 교통 인프라스트럭처로부터 들어오는 교통신호/규제 정보, 지역 정보로서 날아오는 주변 점포 정보, 차간 거리 측정 센서의 정보 등 모든 정보를 모아 최적으로 운전자에게 전하거나, 또한 앞으로는 이 정보를 기초로 운전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더욱 진화해 나갈 전망이다. 물론, 이러한 기능을 모두 카 내비게이션에 집약하는 것은 어렵겠지만, 자동차 본체의 정보처리 기능이나 각종 데이터 표시 기능과 카 내비게이션이 연동되어 모든 정보를 처리하는 방향으로 가능성이 높다.
한편에서는 이러한 진화는 시기상조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미 그러한 방향으로 상당히 진전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면, 이미 실용화되어 있는 주차지원 시스템에서는 카메라 화상으로 찍은 주위 상황을 카 내비게이션의 화면에 표시하고 있다. 또한 카 내비게이션의 지도정보와 연동시켜 헤드램프의 방향을 조정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는 차내의 편리성을 담당하고 있던 카 내비게이션이 이제는 안전까지 책임지는 방향으로 발전해 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진화를 지원하기 위해서 카 내비게이션에 관련된 각종 자동차 부품에 대한 요구도 바뀌어 가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카 내비게이션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성능 향상과 메모리 용량 확대, 그리고 대용량 스토리지가 요구되고 있다. 또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카 내비게이션에 표시되었던 정보와 운전석 계기판에 표시되었던 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정보를 연동시켜 대량 정보를 운전자에게 이해하기 쉽게 표시해야만 한다. 따라서 계기판에 각종 정보를 일괄 표시하는 통합 계기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변화가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또 다른 변수를 든다면 휴대전화의 가세다. MP3, 카메라, TV와 컨버전스가 진행되어 왔던 휴대전화가 서서히 카 내비게이션 기능까지 통합하면서 카 내비게이션 시장 흐름에 변수가 되고 있다. 요즘 휴대전화 업계에는 GPS를 탑재한 위치 기반 서비스(LBS) 폰이 화제다.
<저작권자 © AEM.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