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타, 희토류 사용을 줄인 전기모터용 자석 개발 네오디뮴 사용량 최대 50% 절감, 고온 조건에서도 사용 가능
개발된 자석은 내열성 네오디뮴 자석에 필요한 희토류 중에서도 희소 금속으로 분류되는 테르븀(Tb)과 디스프로슘(Dy)을 사용하지 않을 뿐더러, 네오디뮴의 일부를 저가의 희토류인 란타늄(La)과 세륨(Ce)으로 대체하여 네오디뮴 사용량을 줄였다.?
2018-02-21 온라인기사
NXP, 새로운 기가비트 스위치와 듀얼 포트 PHY 출시 NXP 양산용 이더넷 서브시스템, 유수 자동차 제조사 사용 중
NXP SJA1105x와 TJA1102 제품군 모두 양산용으로 출시됐다. SJA1105x와 TJA1102을 별도로 혹은 함께 사용해 고도로 최적화된 이더넷 서브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오리지널 NXP AUTOSAR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실리콘에 제공된 전체 기능 세트를 포함한다. AVB SW 스택은 스위치 시리즈의 기존 부품에 사용할 수 있다.
2018-01-31 온라인기사
엘모스, 차량용 근접 감지 및 제스처 인식을 위한 차세대 센서 IC E909.21: 시스템 비용 최대 40%, 시스템 공간 최대 50%까지 절약
E909.21은 물체를 근접?감지하며 제스처 인식 기능을 자동차에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광학 IC 제품이다. 이전 솔루션과 비교해 시스템?구축을 위한 자재비용을 최대 40%까지, 시스템 내에 확보해야 하는 공간을 최대 50%까지 줄일 수 있다.
2018년 01월호 지면기사
자일링스, 오토모티브 인증 징크 울트라스케일+ MPSoC 출시 ISO26262 인증 제품을 통한 안전 중심의 ADAS 및 자율 주행 시스템 개발
자일링스® 오토모티브 XA 징크 울트라스케일+ MPSoC 제품군은 ISO26262 ASIL-C 레벨 인증을 획득한 AEC-Q100 시험 규격에 따라 적합성을 인증 받았다. 이 제품은 기능이 풍부한 64bit 쿼드 코어 ARM® Cortex™-A53과 듀얼 코어 ARM Cortex-R5 기반 프로세싱 시스템(PS) 및 자일링스 프로그래머블 로직(PL) 울트라스케일 아키텍처를 단일 디바이스에 통합했다.
2018-01-16 온라인기사
온세미, 고급 자율주행 기능 지원 확장형 이미지센서 공개 최대 8.3 MP 해상도, 4.2 μm 크기의 대형 픽셀 제공
온세미컨덕터는 CES 2018에서 새로운 확장형 이미지센서 제품군을 선보인다.?행사 기간 중 온세미컨덕터의 이미징 전문가가 현장에서 차량 이미지센서 애플리케이션용 솔루션 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한다. 온세미컨덕터의 부스는 샌즈 컨벤션센터와 베네치안 호텔(Murano 3302)에 마련된다.
2018-01-10 온라인기사
맥심, ISO 26262 ASIL D 준수 배터리관리시스템 발표 MAX17843, 맥심 독자적 BMS 기술 적용
MAX17843을 사용함으로써 안정성을 검증받은 데이지체인(daisy-chain) 통신 기술과 광범위한 진단 기술을 통해 높은 신뢰성과 낮은 비용으로 리튬이온 배터리팩을 구성할 수 있다. ?
래티스, FPGA 개발툴 ISO26262 인증 획득 IEC 61508 인증에 이어 설계 안전성 품질 인증 확대
커넥티비티 솔루션 업체인 래티스가 자사 소프트웨어 ‘래티스 다이아몬드 2.1 소프트웨어’가 ISO26262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일반 산업용 전자 안전 관련 시스템의 기능 안전성에 대한 기존 표준인 IEC 61508에 추가로, 자동차 기능 안전성 표준인 ISO 26262 인증 획득으로 설계 안전성 품질 인증 확대시켰다.
2017-12-19 온라인기사
LG전자, ‘LTE 자율주행 안전기술’ 국내 최초 개발 성공 선행차량 급제동 경고, 전방 공사현장 경고 국내 최초 시연
LG전자가 국내 최초로 LTE 이동통신 기반 V2X 단말과 이를 활용한 자율주행 안전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2017-12-11 온라인기사
로옴, 포뮬러 E에 풀 SiC 파워 모듈 공급 대폭적인 소형화와 경량화 실현
로옴은 전원 IC 및 각종 제어 IC 이외에도, 파워 디바이스 및 전류 검출용 션트 저항기와 같은 디스크리트 제품 등 폭넓은 라인업을 구축하고 장기간에 걸쳐 자동차용 제품을 제공해 왔다.
2017-12-01 온라인기사
고정밀 전류센서 개발, 국산화 앞당기나 차량용 저전력 전류센서 개발…0.5mA급 전류소모와 0.1% 정밀도 목표
차량용 저전력 전류센서 기술 개발이 2차년도를 거치면서 해외경쟁력을 가진 자기센서 및 전류센서 국산화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2017년 11월호 지면기사
NXP, 확장 가능한 차량용 컴퓨팅 아키텍처 발표 상위 자동차 제조업체 중 8개사가 채택 결정
차량용 반도체 업계 순위 1위 NXP Semiconductors(이하 NXP)가 공통 플랫폼을 기반으로 미래 자동차 ECU(Electronic Control Unit) 설계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컴퓨팅 플랫폼을 발표했다.
자동차에 고속 시리얼 링크가 필요한 이유 맥심, 차세대 SerDes 기술 발표
맥심이 자동차 인포테인먼트와 ADAS를 위한 최신 SerDes 기술을 발표했다. 단일 칩으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기가비트 이더넷 데이터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더욱 강력해진 맥심 GMSL 기술에 대해 맥심의 안재훈 이사와 이야기를 나눴다.
TI, 시스템 접근방식을 통한 자동차 혁신 지원 100종 이상의 차량용 레퍼런스 디자인 제공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TI)의 차량용 반도체 비즈니스는 2016년 회사 전체 매출(119억 100만 달러, 가트너, 2017, 5)의 18%를 차지하며 약 22억 달러를 기록했다.
차세대 ECU를 위한 AUTOSAR Adaptive Platform 등장 배경, 특징 및 전망
AUTOSAR Adaptive Platform은 왜 개발됐을까? AUTOSAR Classic Platform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제어기를 개발함에 있어 어떤 플랫폼을 선택해야 할까? AUTOSAR Adaptive Platform이라 하면 우선 받게 되는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한 답과 AUTOSAR Adaptive Platform의 등장 배경, 특징 및 전망에 대해 살펴본다.
미래 자동차를 개발하는 방법 증강현실과 가상현실로 디자인, 개발 시간, 비용 개선
혼합현실 기술이 자동차를 설계하는 데 크게 공헌하고 있다. 공상과학이 아니다. 폭스바겐은 모바일 컴퓨터 기술인 홀로렌즈를 사용해 실제로 미래 자동차를 개발하고 있다. 홀로렌즈를 통해 디자이너들은 가상의 콘텐츠를 실제 콘텐트에 투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