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플라스틱 용접
최근 개발된 레이저를 이용한 플라스틱의 용착기술은 기존의 접합방식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장점과 단점을 동반하는 새로운 방식의 접합기술이다. 특히 기존의 용착 방식과 비교하여 용착 강도, 기밀성, 외관 등이 우수하고 생산성과 원가절감을 가능케 하며 내부에 기계적, 열적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복잡한 형상의 접합가공이 가능하다.
2008년 10월호 지면기사
MOST HD A/V 네트워크로의 완전한 통합 소비가전 연결
MOST 기술은 다양한 차량용 서브시스템들 사이에서 고대역폭 오디오, 비디오,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자동차 산업분야의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다. MOST는 전세계적으로 16개 이상 자동차 브랜드의 58개 이상 모델에 채택되었다.
전자제어 엔진(1) 자동차 전장 입문(8회)
오늘날 자동차의 엔진 성능 향상에는 기계적인 메커니즘(mechanism) 혁신은 물론 혼합된 연료의 연소 과정에 전자적 개입을 통한 연료분사로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다양한 조건에 따라 공기와 연료의 혼합비를 결정하고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구현이 기계적 구조만으로는 해낼 수 없기 때문이다. 부가적으로 엔진의 정숙성, 진동, 안전성 등 다양한 성능개선 요구도 커지면서 컴퓨터를 도입한 전자제어
자율주행의 시작, 능동안전 레이더를 통한 ASV의 실현
센서 기술은 고안전 자동차(Advanced Safety Vehicle, ASV) 실현의 핵심이다. ASV의 개념, 차량용 레이더 센서의 응용 분야, 그리고 국내외 동향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한다.
차량 레이더 간소화하는 샘플링 ADC 맥심 MAX11043
자동차용 전선과 커넥터 자동차 전장 입문(7회)
자동차는 실내 공간의 확보와 기능성 장치의 증가로 인해 엔진룸 공간이 과거에 비해 훨씬 좁아졌다. 이로 인해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선과 커넥터는 온도와 습도, 내마모성 등이 우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수량 증가로 인한 차량의 중량 상승에 대한 대책도 마련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자동차용 전선과 커넥터의 특징 및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2008년 08월호 지면기사
Plug In Hybrid 시대 기회를 잡는 법 하이브리드 카와 가솔린, 디젤 자동차의 비교분석 Ⅲ
Plug In Hybrid는 이차전지 회사의 상례와 달리 자동차 회사의 상례에 따라 개발이 진행될 것이다. Full Hybrid와 Plug In Hybrid의 비교를 시작으로 Plug In Hybrid의 구현을 위해 선결해야 할 핵심인 이차전지 시스템에 대해 논의하고, 어떤 관점으로 접근해야 할 것인지 필자의 주관을 제시한다.
운전석 상륙작전 인텔의 승부수 인텔-윈드리버 연합전선… 아톰 CPU와 리눅스에 희망
인텔은 x86 생태계의 위력인 개발자 수급, 표준화된 부품 및 프로토콜 사용이라는 강력한 무기를 앞세워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장을 접수할 야욕을 실행으로 옮기고 있다. 하지만 철옹성같은 자동차 시장에서 인텔 연합전선이 ‘찻잔 속 미풍’으로 그칠 가능성도 있다. 아직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말이다.
IT업계 운전석 상륙작전 MS 상쾌한 출발… Linux 조심스런 행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겨냥한 IT업계의 행보가 부산하다. 자동차 부문에 눈독을 들여온 마이크로소프트(MS)는 피아트, 포드 등에 이어 최근 현대기아차와 차세대 차량용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이를 활용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개발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인텔은 윈드리버와 함께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장을 겨냥한 오픈소스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HUD: 순작용과 역작용의 공존
HUD가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제공 장치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인간공학적, 인지과학적, 심리학적 시각 연구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시 말해 인간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보다 진지한 물음과 고찰이 있어야 한다.
2008년 06월호 지면기사
자동차의 계기장치 자동차 전장 입문(6회)
자동차의 계기장치는 운행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와 시스템 작동 상태를 운행 중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지시 및 경고해 주는 일종의 종합 상황장치다. 이들 지시장치는 미터 종류에 따라 바이메탈(bimetal)식 미터와 전자식(電磁式) 미터, 전자제어식(電子 制御式) 미터로 구분한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전장화에 따라 전자제어식 계기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른 마이컴 제어가 유용한 스텝모터 방식 미터가 주로 적용되
INCA를 이용한 Dodge Avenger Tuner
“형태는 기능에 종속된다”는 디자인 원칙은 “형태는 또한 적응성을 위해 유연성이 있어야 한다”라고 현대적 의미로 재조명할 수 있다. 자동차 산업에서는 그 의미가 맞춤화된 양산 차량을 생산하는 것이며, 그것이 시대적 요구다. SEMA Show는 그 사실을 확실히 보여주었다.
LIN ECU의 품질 확보 LIN 마스터 적합성 테스트 전략의 현재와 미래
고품질과 신뢰성은 첨단 자동차에 버스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필수 전제 조건이다. 자동차 개발에 사용되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부품 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경제적인 버스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테스트 전략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 글은 최신 LIN 적합성 테스트 사양에 따라 수행 가능한 LIN 노드 테스트 옵션에 대해 설명한다. 마스터 노드의 경우 이미 잘 알려진 개발 및 시뮬레이
`HAL`이 되어가는 자동차 내비, 핸드폰, 오디오 음성컨트롤은 표준
운전 중 통화나 대시보드의 라디오, 에어컨 등 전자기기 작동으로 유발되는 운전 부주의 사고가 늘면서 예방을 위한 관련 법규가 늘고 있다. 반면 소비자들은 차에서 더 나은 편의를 위한 첨단 제품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핸즈프리, 내비게이션, 오디오를 음성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음성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운전자 환경을 변화시키는 세 축 연결성,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그리고 통합
자동차 실내 전자장치는 과거에 비해 훨씬 더 강력해졌다. 각종 정보기기의 통합, 운전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운전석, 다른 차와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첨단 장치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리고 차량 내부의 다양한 시스템 간 통신을 포함하여 자동차 외부의 다른 기능들과의 연결성은 부가적인 정보유통량을 빠르게 증가시키고 있다. 자동차 실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세 가지 “도전”에 주목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