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기차 거점도시 육성
산업기반, 도시성향, 교통과 잘 맞아야…
2011년 04월호 지면기사  / 글│양 은 정 기자 <ejbbong000@naver.com>

 환경부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전기차 운용 거점도시를 선정해 전기차 구매 및 충전 인프라 구축 비용을 지원하는 형태로 전기차 보급 및 이용확대를 꾀하고 있다. 거점도시에 대한 지원은 동급 가솔린 차량과의 가격차의 50%의 구매보조금 지급, 충전기 구축 비용 전액 지원이란 환경부의 기본 계획과 동일하지만, 올해 170억 원, 내년 823억 원의 예산에 대해 우선적으로 배정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거점도시육성사업 TF의 김은경 팀장은 “올해의 경우 생산되는 전기차 수가 한정돼 있지만 내년에는 더 많은 수가 양산되고, 전기차를 구매하는 지자체들도 크게 늘 것”이라며 “거점도시에게는 우선적으로 예산이 지원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업은 기존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을 좀 더 구체화해 도시형, 관광단지형, 구내 근린용 등 전기차의 도입 범위와 적용 분야를 세분화해 추진하는 것이다. 주행거리가 짧고, 무배출이란 전기차의 특성을 특정 도시의 색깔과 교통환경에 대응시키는 도입 트렌드를 따른다.
세 가지 형태로 추진되는 사업은 지자체 단위의 전기차 산업을 육성함은 물론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 유형별 장단점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환경부는 예산을 확보하고 전기차 도입에 적극적인 지자체와 전기차 도입을 희망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유형별 1~2개 시·도(군)을 선정키로 하고 도입 및 운용 계획과 예산 등을 포함한 신청서를 받았다.
김은경 팀장은 “선정에서 중요하게 작용할 부문 중 하나는 얼마나 많은 전기차를 보급하겠냐는 의지”라고 말했다.
현재 서울, 광주, 제주 등 3개 광역시도와 창원, 영광 등 5개 지자체가 유력한 상황이다. 서울은 오래전부터 친환경차량 보급에 적극적이었고 전기차를 그 중심에 놓았다. 지난해에만  109억 원을 투입해 전기차 제작 시범사업을 추진했고, 남산과 월드컵공원 등에 전기버스를 도입해 운행 중이다. 서울대공원에는 온라인 전기차를 도입했다. 충전 인프라는 공공부문은 물론 민간 분야까지 구축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배달용 오토바이의 전기화 등 각종 세부사업을 추진한다.
지난해 지앤디윈텍, 탑알앤디 등 지역기업, 전자부품연구원과 2012년까지 전기차 육성에 400억 원을 투자키한 광주는 완성차부터 차량 개조, 전기차 부품 개발, AS와 충전 인프라까지 전기차 전 분야를 아우른 산업 육성책을 진행 중으로 이번 거점도시 사업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제주는 프랑스의 라로셸처럼 관광에 포커스를 맞춰 전기차 도입을 추진 중이다. 렌터카,·택시 등 관광과 밀접하게 연관된 차량의 전기화를 2012년부터 연차적으로 추진하고, 인프라는 기존의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과 연계할 방침이다. 주요 관공서, 대형마트, 주유소, 관광지 등 174곳에 충전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제주는 올해 전기차 50대를 도입하고, 2013년까지 150대로 늘릴 예정이다.
창원은 올해 총 40대의 공공 전기차 도입을 추진 중으로 전기연구원, GM코리아, 세방전지, S&T모터스 등 관련 기업과 협력 모델을 준비 중이다.
한국교통연구원의 황상규 실장은 “거점도시는 도시의 전기차 관련 산업 기반, 도시와 도시교통의 특성 등과 전기차가 잘 매칭되는 도시가 돼야 할 것”이라며 “지자체나 단체장의 역량, 보급 의지에 치우쳐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AEM.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 미분류
  •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