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V, 자율주향, 전동화, MaaS 등과 함께 격변하는 자동차 산업에서 여러 대기업,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은 다쏘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 기술, 협업 중심 플랫폼, 모델 기반 시스템 엔지니어링(MBSE), 통합 시뮬레이션 도구 등을 활용해 민첩하게 대응하고 있다. 다쏘시스템이 폭스바겐, 하빈저, 샤인레이 사례와 함께 플레이어들이 궁극적으로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쏘시스템과 어떻게 디지털 전환을 하고 있는지를 말한다.
글 | 다쏘시스템코리아
Requirement-In-the-Loop, 모델 기반 요구사항 검증 방법
RIL: 안전 필수 시스템 위한 모델 기반 요구사항 검증 및 검증 방법론
자동차 제조업체의 새로운 디지털 혁신 시대가 도래했다. SDV(Software Defined Vehicle)의 부상으로 자동차는 전통적인 기계 중심 제품에서 점차 소프트웨어 중심의 디지털 시스템으로 전환하고 있고, 시장은 글로벌 관세 부과 및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한 공급망 불확실성이 커지며 OEM과 부품사들의 민첩한 전략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자동차’가 ‘플랫폼’이 된 형국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전 세계 자동차 및 모빌리티 산업은 내연기관(ICE)에서 전동화(EV)로,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전기차, 하이브리드, 수소차 등 다양한 동력원이 공존하는 가운데, 배터리 기술의 진화와 충전 인프라 확장은 업계 전반의 핵심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고체 배터리, LFP, 나트륨 이온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는 주행거리, 안전성, 비용 측면에서 기술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동시에, 차량은 SDV로 재정의되며 OTA(Over-the-air) 업데이트, 자율주행 기술 등으로 기능과 가치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런 변화는 커넥티드 카, 스마트 인프라, 데이터 기반 유지보수 등 새로운 서비스를 가능케 하며, 자동차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도 구독형, MaaS(서비스형 모빌리티), 데이터 기반 개인화 서비스로 확장되는 추세다.
이런 격변의 시기에서 스타트업과 중소기업(SMB-Small and Midsize Business)은 클라우드 기반 기술, 협업 중심 플랫폼, 모델 기반 시스템 엔지니어링(MBSE), 통합 시뮬레이션 도구 등을 활용해 민첩하게 대응하고 있다. 특히 초기 자본 지출을 줄이면서 유연한 확장을 가능케 하는 클라우드 환경과 설계 오류와 반복 작업을 줄여주는 협업 시스템은 이들에게 중요한 경쟁 우위가 된다.
궁극적으로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 보유를 넘어, 빠른 대응력과 개방형 협업 체계, 그리고 강력한 디지털 인프라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하고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핵심이다.
폭스바겐
최근 폭스바겐 그룹은 다쏘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구현을 통해 폭스바겐 그룹의 최첨단 차량 개발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를 발전시키기 위한 장기 파트너십을 체결한다고 발표했다. 폭스바겐 그룹은 다쏘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주요 엔지니어링 및 제조 플랫폼으로 선택했다.
앞으로 폭스바겐, 아우디, 포르쉐 브랜드의 엔지니어, 디자이너 및 기타 전문가들은 버추얼 트윈을 활용해 차량 개발을 간소화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폭스바겐은 실제 생산을 시작하기 전 다쏘시스템이 제공하는 협업 가상 환경에서 차량 개발의 모든 측면을 시뮬레이션, 테스트, 개선하는 동시에 글로벌 규제 및 지속가능성 표준을 준수할 수 있다.
다쏘시스템은 전 세계 모빌리티 기업이 서로 다른 차원의 도전 과제들에 대응할 수 있도록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디지털 통합 환경, 버추얼 트윈, 협업 기반의 제품 수명주기 관리(PLM)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모빌리티 기업들은 신속하고 유연한 제품 개발은 물론, 복잡한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완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그야말로 ‘모빌리티의 A to Z’를 제공하는 셈이다.
로렌스 몬타나리(Laurence Montanari) 다쏘시스템 자동차 및 모빌리티 산업 부문 부사장은 “내연기관 자동차는 개발에 50년이 걸렸고, 전기차는 약 10년이 걸렸다. 그런데 이제는 새로운 자동차 플랫폼이 등장하는 데 단 2년밖에 걸리지 않는다. 이처럼 개발 기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된 것은, 다쏘시스템의 혁신적인 기술 덕분이다”라며 기술력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의 중심에 버추얼 트윈을 두고 협업하는 새로운 방식을 다쏘시스템은 ‘버추얼 엔터프라이즈(Virtual Enterprise)’라고 부른다. 이를 통해 자동차 제조업체는 더 이상 물리적 제약이나 조직 간 장벽에 구애받지 않고, 전 세계 이해관계자들과 손쉽게 협력해 자동차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로렌스 몬티나리 부사장은 “자동차 제조사들은 새로운 제품과 기능을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 이에 더해, 최고 수준의 차량을 만들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합할 수 있는 역량을 포함해 고도화된 기술 솔루션이 필요하다.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은 바로 그 해답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빈저
하지만 다쏘시스템의 고객군은 이처럼 대형 완성차 업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하빈저(Harbinger)나 푸조 스포츠(Peugeot Sport)와 같은 전기 트럭 및 고성능 레이싱 분야의 기업들도 다쏘시스템의 솔루션을 활용하고 있다.
최근 전기차 시장은 규제 강화, 기술 발전, 지속가능성에 대한 수요 증가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전 세계 신차 판매의 10%를 전기차가 차지했으며, EU 등 주요국은 2035년까지 내연기관차 판매를 금지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각국은 충전 인프라 확대에 집중하고, 스타트업과 완성차 제조사(OEM)들은 배터리·충전소·부품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소비자 인식 변화도 확산을 이끌고 있다. 총소유비용(TCO) 면에서 전기차가 유리하다는 인식이 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전기차 및 틈새시장(이륜차, 삼륜차, 소형 상용차 등)도 빠르게 성장 중이다. 중국의 NIO, 인도의 Simple Energy, 한국의 이퀄(Equal) 등은 혁신적인 서비스와 제품을 선보이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서비스형 모빌리티(MaaS)와 서비스형 플리트(FaaS-Fleet-as-aService) 같은 서비스형 모빌리티가 스마트시티와 도심 물류 혁신을 견인하는 가운데, 자율주행 기술과 ADAS, 센서, 통신 기술을 중심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의 핵심에는 버추얼 트윈 기반 시뮬레이션 기술이 있으며, 제품 개발 속도와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킨다.
이 모든 혁신을 실현하는 기반은 다쏘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으로, 설계부터 제조, 운영까지 전기차 제조의 전 과정을 통합해 디지털 전환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고 있다.
일반 전기차 시장에 비해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전기 트럭 시장이지만, 라스트 마일 배송과 물류 수요의 급증으로 인해 에너지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중형 트럭의 필요성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런 산업의 변화를 이끄는 기업 중 하나가 바로 미국 캘리포니아 기반 스타트업 '하빈저(Harbinger)’다. 하빈저는 클래스 4 ~ 7급 중형 상용차(배송 트럭, 탑차, 스쿨버스, 캠핑카 등)를 위한 전기차 전용 섀시 플랫폼을 처음부터 새롭게 설계하고 있다. 단순한 내연기관 차량 개조가 아니라, 전기차에 최적화된 구조를 처음부터 개발해 전통적인 기술에 머물러 있는 시장에 혁신을 불어넣겠다는 목표 아래 개발이 진행 중이다.
하빈저는 모터, 인버터, 기어박스를 통합한 독자적인 액슬(eAxle)과 배터리 시스템, 섀시, 구동계를 모두 자체 개발·생산하는 수직 통합 방식을 채택해 내연기관 트럭과 가격 경쟁이 가능한 전기차를 개발 중이다.
이런 복잡한 개발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다쏘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이다. CAD 설계, 엔지니어링 BOM, 가상 조립 등 차량 개발 전 과정을 아우르는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통해 하빈저는 전 세계 팀원들이 실시간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으며, 향후 기업 성장을 위한 확장성까지 확보하게 됐다.
하빈저는 또한, 다쏘시스템의 3DEXPERIENCE for Startups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고 있다. 스타트업에게는 비용 부담이 큰 고급 PLM 솔루션 대신, 클라우드 기반으로 확장성과 접근성을 확보한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이 매력적인 선택이었다. 이를 통해 카티아(CATIA), 에노비아(ENOVIA), 시뮬리아(SIMULIA), 델미아(DELMIA)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부담 없이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카티아를 통해 차량 전반의 설계가 통합적으로 진행되며, 에노비아는 부서 간 협업과 변경 관리의 중심 역할을 한다. 이는 부품 간 트레이드오프 결정, 실시간 피드백, eBOM(Engineering Bill of Materials)에서 mBOM(Manufacturing Bill of Materials)으로의 전환 등 민첩한 제품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차량의 다양한 사양(예: 휠베이스, 배터리 팩)에 따른 정확한 자재명세서(BOM-Bill of Materials) 관리가 중요한 생산 단계로의 전환에도 핵심적이다.
향후 하빈저는 델미아를 통해 제조 계획, 조립 지그 설계, 공정 순서 최적화까지 확대 적용할 예정이며, 약 20년(약 72만 km)의 차량 수명 동안 유지보수, 인체공학, 공구 경로 계획 등에서도 플랫폼의 기능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하빈저는 단순한 전기화가 아닌 운전자 경험과 차량 성능 전반의 혁신을 목표로 하며, 새로운 중형 상업용 전기차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하빈저는 다쏘시스템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통해 곧 미국 거리에서 안전하고 스마트한 친환경 배송을 실현할 전기 트럭을 선보일 예정이다.
샤인레이
중국의 자동차 및 이륜차 제조사인 샤인레이 그룹(Shineray Group)은 프리미엄 전기차가 아닌,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가격의 신에너지 자동차(NEV)를 원하는 소비자 수요에 주목했다. 이에 따라 샤인레이 그룹은 7인승 전기 SUV ‘SWM Giant Tiger Edi’를 출시하며, 10만 위안(약 2,020만 원) 이하의 가격과 최대 1,000km의 주행거리를 갖춘 경쟁력 있는 모델을 선보였다.
하지만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샤인레이 그룹은 비효율적인 자재 명세서 관리 체계로 인해 생산성과 품질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설계, 제조, 서비스용 자재 명세서가 각각 다른 팀에서 관리되었고, 변경 사항이 수작업으로 처리되면서 데이터 불일치와 오류가 빈번히 발생했고 그 결과, 생산 지연과 재작업으로 인한 비용 손실이 반복됐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샤인레이 그룹은 다쏘시스템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도입했다. 에노비아를 통해 협업 기반의 제품 수명주기 관리(PLM)를 구축하고, POWER’BY 기술을 활용해 기존 카티아 V5 설계 데이터를 3D익스피리언스와 연동시켰다. 이를 통해 설계, 소프트웨어, 제조 부서 간 데이터 연결이 통합됐고, 자재 명세서의 변경사항도 즉시 설계 모델에 반영할 수 있게 됐다.
특히 디지털 목업(Digital Mockup)을 통해 차량 전체의 구조를 초기 단계부터 시각화할 수 있어, 설계 오류를 사전에 식별하고 개발팀과 고객 간 협업도 한층 더 원활해졌다. 이로써 실시간 제품 개발 추적이 가능해졌고, 설계 최적화 또한 가능해졌다.
이런 디지털 전환을 통해 샤인레이 그룹은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합리적인 가격대의 신에너지 자동차를 지속적으로 출시할 수 있게 됐다. 그 결과, 샤인레이 그룹은 경쟁사들이 수익성 문제로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 도태되는 것과 다르게 실용성과 기술 효율성을 겸비한 경쟁력 있는 제조사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7개 트렌드와 디지털 혁신
팬데믹 이후 자동차 산업은 유례없는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근본적인 기술 혁신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글로벌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 소비자 니즈의 다양화, 강화된 규제(BS6, CAFE, RDE 등)와 더불어 전기차·하이브리드 등 새로운 차량 세그먼트의 부상은 기존 제조 방식에 큰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완성차 제조는 복잡한 시스템 통합 역량과 경제성 있는 신차 개발 역량을 동시에 확보해야 하는 이중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자동차 산업을 재편하고 있는 7가지 핵심 트렌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는 SDV이다. 차량이 점점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OTA 업데이트, AI 기능 탑재, 전자 아키텍처 고도화가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두 번째는 전동화로, 배터리 기술의 발전과 함께 MBSE 기반의 설계 전략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배터리 안전성과 충전 인프라 문제 해결이 동시에 요구된다.
세 번째는 자율주행과 ADAS의 확산이다. 이는 차량의 안전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며, 복잡한 도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기반의 가상 검증 기술이 핵심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네 번째는 AI의 확장된 활용으로, 자율주행뿐 아니라 차량 개발 전 과정에서의 데이터 분석, 설계 최적화, 비용 예측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며 제조 효율성과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키고 있다.
다섯 번째는 모델 기반 시스템 엔지니어링(MBSE)이다. 제품 생애주기 전반의 데이터를 일관되게 관리하며, 협업 효율성과 설계 구조의 단순화를 가능하게 만든다.
여섯 번째는 경량화 설계 전략으로, 다양한 첨단 소재와 최적화 기술, AI 기반 설계 툴을 통해 EV 주행거리 향상과 탄소 배출 저감을 동시에 실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혁신은 차량 설계, 시뮬레이션, 제조 전반을 통합하는 기반 기술로 작용한다. 버추얼 트윈, 클라우드, 머신러닝 기반 CAE 기술의 도입은 제품 개발의 속도와 정밀도를 높이며, 민첩하고 지능적인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처럼 변화의 중심에 있는 7가지 트렌드는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재편하고 있으며, 이를 적극 수용하고 선도하는 기업만이 미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AEM.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