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본지에는 자동차 안전과 관련해 다양한 기술, 시장, 정책과 규제에 대한 기사가 실렸습니다. 그런데 가장 기억에 남는 기사를 꼽으라고 한다면 주저 없이 4년 전 프로스트앤설리번(Frost & Sullivan)의 P. 애즈윈쿠마(Aswinkumar) 애널리스트가 쓴 “★★★★★車 도로를 누빌 준비가 돼 있는가?”를 선택할 것입니다.
애즈윈쿠마는 전 세계적인 도로 사고, 사상자, 사회비용 저감 노력에 부응하기 위해, 신기술의 보급을 가속화하기 위해 자동차의 안전평가 제도와 규제가 바뀌어야하고 한다고 했습니다. 독일의 운전자 협회 ADAC(Allgemeiner Deutscher Automobil-Club)이 5성의 안전평가 등급을 획득한 르노 라구나(Laguna)에 대해 정면충돌 테스트를 규정 속도인 64 km/h가 아닌 80 km/h로 실시한 의도와 평가 결과를 예로 들어 전 세계의 신차 안전평가 제도가 현실화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당시 의무화가 예정된 차체 자세제어 시스템을 비롯해 차선이탈 경고, 사각지대 검출과 같은 운전자 경고나 긴급제동 보조와 같은 충돌회피 시스템에 대한 평가제도가 마련되고 의무장착화 돼 교통사고에 대한 ‘비전제로’ 목표를 달성해야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번에 독일에서 온 소식에 따르면 ADAC은 현재 운전자 지원 시스템을 총 16개 종류로 분류해 모델별 테스트 성능을 비교해 소비자들에 제공하고 있다고 합니다. 민간기관이 이 정도이니 당연히 정부차원에서도 다양한 안전 관련 시스템의 의무장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차체 자세제어, 제동보조, 주간 주행등, 긴급제동 보조, 차선이탈 경보 등의 시스템이 승용차와 상용차에서 의무화됐거나 될 예정입니다.
각국의 신차 안전평가 제도인 NCAP을 살펴보면, 유럽은 2015년까지 기존 탑승객 보호에 대한 평가법 개선, 교통약자를 위한 안전장치 향상 방안 및 사고회피 시스템 평가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미국은 차선이탈 경보, 전방충돌 경보 등을 우선 도입할 예정입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아직까지 운전자 지원 시스템이 특정 차량 모델을 통해 반응이 검토되는 수준이고, 이에 따라 관련 사업부의 이동 및 통합이 잦은, ‘돈’이 되지 않는 부문이라고 하소연하기도 합니다만, 세계적 정책과 규제의 추이는 곧 시장과 도로안전을 크게 끌어올릴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의 대응도 결코 뒤지지 않습니다. 올해부터 시행된 교통안전기본계획을 보면 2016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2010년 대비 40% 감축을 목표로 합니다. 이에 따라 능동안전 기술 보급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기술 수준 및 시장을 고려한 신차 안전평가 제도 및 의무화 로드맵이 해외와 큰 차이 없이 제안되고 있습니다. 진실된 ★★★★★급 차량이 당도하리라 믿습니다.
<저작권자 © AEM.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