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가는 길, 현대車 간 V2V 통신…” KATECH, 국내 차량용 디스플레이 표준제정 추진
지난 3월 역삼동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막 회의를 마치고 나온, 국내외 스마트카, C-ITS 관련 표준, R&D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자동차부품연구원(KATECH)의 류시복 센터장을 만났다.
2014년 05월호 지면기사
PSA 이노베이션데이, 감각과 웰빙에 포커스 PSA, Multi-Sensorial Approach in Cabin
지난 4월 PSA는 R&D센터에서 인테리어에 포커스한 미래의 주행경험에 대한 “새로운 느낌과 웰빙”을 타이틀로 이노베이션 데이를 개최하고 ‘멀티센서리 접근법’을 공개했다.
지능형 학습 알고리즘 이용 인지부하 감지 생체신호 이용한 인지부하 평가
생체신호는 인지부하를 평가하기 유용한 방법 중 하나다. DGIST은 운전수행도와 생체신호와의 조합이 인지부하를 측정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다임러의 새 컨트롤과 디스플레이 콘셉트 스마트폰 같은 멀티터치 센서 시스템
메르세데스의 모델들은 최신 컨트롤 및 디스플레이 콘셉트를 보여주고 있다. 최대 혁신은 대시보드 위의 다기능 터치패드다.
2016, HMI 대전환 자동주행을 향한 새로운 고려사항
자동차 업계는 다가오는 2016년을 HMI의 대전환기라고 보고 있다. 자동주행의 시작으로 HMI의 최우선 고려사항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린스피드, 도로 위 전용기를 만들다 XchangE, 자율주행의 미래와 HMI 혁명
린스피드가 첨단기술, 새 시대의 HMI 요구를 반영한 자율주행 콘셉트 카 ‘엑스체인지’를 공개했다. 차가 알아서 주행하기 때문에 디자인 콘셉트는 운전 대신 다른 해야 할 일, 편안한 휴식 등에 포커스하고 있다.
테슬라 모델 S 티어다운
지난 3월 20일 천안의 자동차부품연구원(KATECH)을 찾았다. ‘하이테크’ 마케팅, 전기차의 신화로 일컬어지는 Tesla Model S의 실체를 보기 위해서였다.
MOST 포럼 2014: MOSTCO가 UPnP와 비디오 코딩 유스케이스 발표
효율적인 연결 기술 MOST®
2014-04-30 온라인기사
ams, 전기자전거 리튬이온 배터리용 시스템 관리 레퍼런스 디자인 발표
마이크로컨트롤러 없이도 밸런싱 및 전압 모니터링 가능한 청사진 제시
2014-04-09 온라인기사
비포마켓 위한 유블럭스(u-blox)의 약속 고객이 필요로 할 때 최고급 제품 적기에 제공
차량용 GPS 넘버원 유블럭스의 김수한 지사장을 만나 핵심 역량과 포부를 들어봤다.
2014년 03월호 지면기사
커넥티비티, 자동차 인포테인먼트의 미래 Infotainment Driving the Course for Connectivity
인포테인먼트는 모든 발전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엄격한 요구와 기술을 요구한다.
AUTOSAR Ethernet을 품다
이더넷을 AUTOSAR에 통합시키는 문제를 논의한다.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구현에서 AUTOSAR 이더넷 스택 확장을 소개한다.
지능적 자동차 실현을 위한 시스템의 이해 written by Jochen Hanebeck, Infineon
인피니언은 하드웨어 기반 보안 전문성을 바탕으로 자동운전 실현의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하나벡 사장이 지능형 자동차 구현법을 말한다.
기아, 전기차 전용 텔레매틱스 첫 선 KIA Launching EV Telematics
기아자동차는 CES에서 전기차 전용 텔레매틱스 시스템과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인포테인먼트를 선보였다.
클라우드로 가는 콘티넨탈ㆍIBMㆍ시스코 3자 동맹 A Triple Alliance for Cloud Mobility
CES에서 콘티넨탈은 IBM, 시스코와 공동개발 중인 클라우드 기반의 미래 커넥티드 카 콘셉트를 집중적으로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