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안전성을 갖춘 자동차 IP 설계
품질과 내구성 측면에서 확고히 뿌리를 내리고 있는 ISO 26262 기능안전성은 산업 전반에서 품질 및 제품 탄력성을 향상시키는 기폭제 역할을 한다.
2016년 11월호 지면기사
차량용 고전압 IC 사용 서지 억제 디바이스 제거
트럭, 자동차, 중장비는 전원 변환 디바이스에 매우 까다로운 환경이다. 넓은 전압 범위, 높은 트랜션트와 큰 폭의 온도 변화를 견뎌야 해 견고한 전자 시스템 디자인을 달성하기가 까다롭다.
비접촉식 충전 방식으로 밝아진 e모빌리티의 미래 ISO/IEC-15118 무선충전 방식 표준화
벡터가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OEM, 공급업체들이 참가했던 ‘2015 벡터 e모빌리티 엔지니어링 데이’ 등과 같은 포럼에서 논의된 비접촉식 충전기술과 그 표준화에 관한 현안을 다룬다.
BMW의 헤드램프 기술 이야기 전방은 레이저 라이트, 후미는 OLED
언제나 최초를 추구하는 BMW는 헤드램프에 레이저 라이트, 후면의 테일램프에 OLED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필립스에서 퀄컴까지; NXP 10년의 여정 NXP 반도체 커트 시버스 수석부회장
퀄컴의 NXP 반도체 인수합병이 진행 중인 가운데 커트 시버스 NXP 수석부회장이 한국을 찾았다. 시버스 부회장은 자율주행 역량과 BMW 7을 예로 NXP의 기술 리더십을 강조했다.
자동차에 음수기를 달아라! 미래이동성에 대한 포드의 발명과 열정
포드가 자동차에 수도꼭지를 달았다. ‘음수기’는 ‘퍼더 위드 포드 트렌드 컨퍼런스’에서 포드의 미래이동성에 대한 열정과 상징성을 담은 올해의 심볼이었을 뿐이다.
라스트마일: 커넥티드 밴의 戰場 자동차와 물류 변화에 주목해야…
롤랜드버거는 미래의 배송에서 리딩 메이커가 되려면 파괴적인 비즈니스 혁신의 일부로서, 새 고객 그룹과 그들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전개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서울을 위한 커넥티드 택시 미래이동성에 대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스마트 모빌리티 국제 컨퍼런스'에서 RWTH 아헨공과대학교 공학디자인연구소(ikt) 마뉴엘 로베 소장이 “서울 커넥티드 택시 콘셉트” 연구를 발표했다. 이를 전한다.
자율주행과 사회 변혁, 뒤쳐지는 한국 AVS 2016, 기술에서 실증·보급 전략으로…
7월 18일부터 닷새간 샌프란시스코에서 진행된 ‘자율주행 심포지엄(AVS 2016)’의 생생한 현장 이야기를 자동차부품연구원 유시복 센터장이 전한다.
"어린이 안전, IEE 레이더로 차 내 숨결까지" IEE 센싱 코리아 송승훈 부사장
스마트에어백, 리어시트 세이프티, 어린이 안전이 갈수록 중요해짐에 따라 룩셈부르크의 자동차 센싱 스페셜리스트 IEE의 존재감도 높아지고 있다. IEE 센싱 코리아의 송승훈 부사장과 이야기를 나눴다.
자동주행 전용 HMI, 통합 운전자 모니터링 요구 콘티넨탈 알렉산더 클로츠 인테리어 디비전 R&D 부문장
자동주행 기술의 고도화에 따라 인테리어 HMI의 역할과 중요성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다. 콘티넨탈의 알렉산더 클로츠 인테리어 디비전 R&D 부문장과 이야기를 나눴다.
콘티넨탈이 게임쇼에 나간 까닭 제어권 반환에 대한 게임의 가능성 타진
콘티넨탈은 사상 처음 퀼른 ‘게임즈컴 콩그레스’에 참가했다. 콘티넨탈은 레벨3 이상 자율주행에서 게임이 사용자 경험, 성공적인 제어권 반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피니언, 자율주행과 EV 요구사항 지원 차세대 MCU 출시 AURIX 마이크로컨트롤러 TC3xx 제품군
AURIX TC3xx 제품군은 이전 세대 AURIX TC2xx 제품군과 호환된다. 16 Mbyte 임베디드 플래시를 내장한 300 MHz 리드 디바이스 TC39xx 엔지니어링 샘플이 BGA-516 및 BGA-292 패키지로 제공될 예정이다.
2016-11-03 온라인기사
발포 덕트 연비 향상 효과 입증 쿄라쿠, ‘발포 덕트’ 사용 후 연비 실험 결과 공개
일본 플라스틱 제품 기업 쿄라쿠가 발포 덕트의 단열 성능에 의한 연비 향상 효과를 측정한 데이터를 공개했다.
2016-10-26 온라인기사
르네사스,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용 키트 발표 자율주행에서 요구하는 성능과 안전성 만족
HAD 솔루션 키트는 높은 컴퓨팅 성능을 제공하는 하이엔드 SoC 'R-Car H3 '를 탑재한 차량용 개발 키트 'R-Car 스타터 키트 Premier' 2세트와 높은 안전성을 실현하는 섀시 제어를 위한 하이엔드 마이크로컨트롤러 'RH850/P1H-C'를 탑재해 자율주행에서 요구하는 성능과 안전성을 모두 만족하는 시스템 구성으로 자율주행의 실차 탑재를 위한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
2016-10-22 온라인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