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조사업으로 EV시장 개발 촉진 구조변경, 차령 5년 미만 제한 아이러니
전기차는 반드시 해야 할 차로 평가받는다. 다가올 미래의 신성장 산업으로 기술 확보, 표준 모델의 선점 등의 중요성에 따라 적극적 대응이 요구된다.
2012년 01월호 지면기사
대중교통과 카 셰어링의 원터치 결합
자동차 중심 교통체계에서 비롯되는 많은 문제점 해결을 위해선 집카나 버즈카와 같은 카 셰어링 시스템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
폴더형 전기차, 동적 요금체계 카 셰어링
인구성장의 약 90%가 도시지역에서 이뤄진다. 이 수치는 전체인구의 약 60%를 차지하고 부의 80%를 차지한다.
P2P로 승용차를 공유 버즈카 마크 체이스 어소시에이트
승용차 중심의 도시 교통체계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문제들. 문제 해결을 위한 한 방안으로 집카나 버즈카와 같은 카 셰어링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볼트, 자동차의 재발명
전기차는 모터, 배터리만 놓고 논할 것이 아니라 미래의 차가 어떤 역할을 해야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놓고 말해야 한다. 차세대 전기차 개발이 바로 이같은 개념에서 출발한다.
BMW i - 프리미엄 메이커의 프리미엄 재정의
프리미엄 메이커 BMW가 정의한 전기차, 미래 프리미엄 카의 연속성이 바로 BMW i다. BMW i는 이동성 컨셉이다.
도시 미래이동성: 아우디의 책임과 기회
사회가 변화하고 있고, 프리미엄 메이커에게는 디자인의 변화, 책임과 기회가 주어지고 있다. 모든 것은 민간과 공공부문의 경계 없이 재창조될 것이다.
창원, EV 메카 되다 실증사업 확대로 경험 늘려야!
한국전기연구원은 지난해 급속충전기의 상용화에 성공했다. 5월에는 전기차 보급을 목표로 정부가 추진하는‘스마트그리드 연계 전기자동차 모니터링 기술사업’을 개시했고, 최근에는 경상남도, 창원시와 함께‘지역 전기차 육성 사업’을 시작했다.
서울, 버스이어 전기택시도! 3년 내 1,000대 도입 위한 가슴앓이
서울시 환경정책 중심에는 대중교통 활성화, 승용차 이용 절감, 전기이동성 추진이 있다.
컨트롤 타워 마련하라 주요국 전기차 정책 추진 체계 비교
전기차는 운행거리 제약, 충전시간 문제, 높은 차값으로 보급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적절한 지원체계 마련이 요구된다.
7인의 패널: EV활성화 전략을 말하다
지난해 10월 중순 한국교통연구원 주최, 국토해양부 후원으로 서초동 대한건축사협회에서 `전기자동차 활성화 전략 수립을 위한 정책 세미나`가 개최됐다. 종합토론에서는 고승영 서울대 교수의 진행으로 10인의 전문가가 한국의 전기이동성 사업의 원활한 전개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이중 6인의 토론자와 녹색성장위원회에서 나온 이순재 사무관의 의견을 소개한다.
고속전기차가 준비됐다 재점화되는 한국 EV
고속전기차만을 고려했던 한국의 전기이동성. 정부가 ‘사정사정’해 출시를 앞당긴 고속전기차 모델이 약속대로 양산 채비를 갖추면서 이제 이 차들을 적절히 투입하고 운영하기 위한 충분한 인프라 구축, 적절한 비즈니스 모델 마련이 중요해졌다.
IEA, 脫석유 전기차로! 정부, 신뢰할 수 있는 정책 만들라
석유생산 능력 한계에 가장 민감한 단체 중 하나인 OECD 산하의 국제에너지기구가 지난해 2020년까지 전기차 연 500만 대 판매를 달성하고, 궁극적으로 2050년 연 5,000만 대 이상의 전기차 판매를 목표로 하는 로드맵을 발표했다.
“전기차 세계 선도해야” 미래교통, 승용차와 대중교통의 밸런스 한국교통연구원 김 경 철 원장
한국교통연구원의 김경철 원장은 우리나라의 전기차 산업이 세계를 선도하는 지위에 올라야 할 것이라고 했다.
전기 & 전자의 역사와 車
신년호는 전기차와 미래이동성을 대주제로 꾸며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