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는 무엇으로 달리는가?
2008년 06월호 지면기사
자동차의 계기장치 자동차 전장 입문(6회)
자동차의 계기장치는 운행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와 시스템 작동 상태를 운행 중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지시 및 경고해 주는 일종의 종합 상황장치다. 이들 지시장치는 미터 종류에 따라 바이메탈(bimetal)식 미터와 전자식(電磁式) 미터, 전자제어식(電子 制御式) 미터로 구분한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전장화에 따라 전자제어식 계기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른 마이컴 제어가 유용한 스텝모터 방식 미터가 주로 적용되고 있다.
INCA를 이용한 Dodge Avenger Tuner
“형태는 기능에 종속된다”는 디자인 원칙은 “형태는 또한 적응성을 위해 유연성이 있어야 한다”라고 현대적 의미로 재조명할 수 있다. 자동차 산업에서는 그 의미가 맞춤화된 양산 차량을 생산하는 것이며, 그것이 시대적 요구다. SEMA Show는 그 사실을 확실히 보여주었다.
LIN ECU의 품질 확보 LIN 마스터 적합성 테스트 전략의 현재와 미래
고품질과 신뢰성은 첨단 자동차에 버스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필수 전제 조건이다. 자동차 개발에 사용되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부품 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경제적인 버스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테스트 전략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 글은 최신 LIN 적합성 테스트 사양에 따라 수행 가능한 LIN 노드 테스트 옵션에 대해 설명한다. 마스터 노드의 경우 이미 잘 알려진 개발 및 시뮬레이션 툴인 CANoe.LIN을 기반으로 한 새롭고 효율적인 블랙박스 테스트 전략이 소개되어 있다.
카 내비게이션에 활용되는 ADAS
ADAS는 미래형 자동차의 주요 기능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ADAS는 자동차 안전 분야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활용되고 있다. 글로벌 디지털 맵 공급업체 텔레아틀라스(Tele Atlas)는 ADAS 기능을 한단계 발전시키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4월 텔레아틀라스는 유럽, 아시아 지역에 이어 미국, 캐나다 지역을 위한 ADAS 맵 데이터를 발표했다.
`HAL`이 되어가는 자동차 내비, 핸드폰, 오디오 음성컨트롤은 표준
운전 중 통화나 대시보드의 라디오, 에어컨 등 전자기기 작동으로 유발되는 운전 부주의 사고가 늘면서 예방을 위한 관련 법규가 늘고 있다. 반면 소비자들은 차에서 더 나은 편의를 위한 첨단 제품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핸즈프리, 내비게이션, 오디오를 음성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음성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운전자 환경을 변화시키는 세 축 연결성,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그리고 통합
자동차 실내 전자장치는 과거에 비해 훨씬 더 강력해졌다. 각종 정보기기의 통합, 운전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운전석, 다른 차와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첨단 장치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리고 차량 내부의 다양한 시스템 간 통신을 포함하여 자동차 외부의 다른 기능들과의 연결성은 부가적인 정보유통량을 빠르게 증가시키고 있다. 자동차 실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세 가지 “도전”에 주목해 본다.
HD라디오 골리앗 `위성`에 도전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미국에서 가까운 시일 내에 HD라디오가 아날로그 라디오처럼 기본 장착 사양이 되기는 힘들어 보인다. 먼저 서비스를 개시한 유료 위성 라디오가 한국의 지상파DMB처럼 이미 대부분 차량에 옵션 또는 기본 장착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희망적인 것은 미국 내 라디오 방송국들이 HD 디지털라디오연합을 결성해 1,500개 방송국이 디지털 전환을 해 HD라디오 서비스를 하고 있고, 커버리지가 90%에 이른다는 것이다. 또한 실시간 교통정보, 퍼스널 오디오 녹음, 대화형 전자상거래 등의 혁신적인 기능도 개발되고 있다.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 자동차와 찰떡궁합 사이즈 커지고 수량 꾸준히 늘어
자동차 업계에서 액정(LCD) 디스플레이 사용이 꾸준히 늘고 있다.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는 주로 카 내비게이션용으로 보급돼 왔으나 이제는 내비게이션에 머무르지 않고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로까지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차량용은 특히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달리 특별한 요구사항과 신뢰성, 품질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또한 자동차의 구매 동기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자동차 메이커에게는 그에 따른 법적 의무와 안전성 문제를 안겨주기도 한다.
미래형 자동차 새로운 출발점에 서다 하이브리드 카와 가솔린, 디젤 자동차의 비교분석 Ⅱ
미래형 자동차에 대해서 좀더 객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자동차 본래의 가치에 충실한 접근이 필요하다. 그런 견지에서 미래형 자동차의 핵심은 단순히 최신형 배터리 기술의 채용이 아닌 그 요소기술의 채용이 가능하도록 해준 전장기술의 발전과 가능성에 두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