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네트, '월드스마트시티엑스포' 3년 연속 참가 ··· 자율주행체험존 운영 자율주행 수용성 향상과 저변 확대에 기여한 공로로 국토부장관 감사장 받아
올해 소네트 자율주행체험존의 핵심 키워드는 ‘무인(driverless)’으로 기존 차량을 개조한 A형 자율주행차, 운전석이 없는 B형 자율주행셔틀 각각 두 대, 총 네 대를 행사 기간에 운행했다. 올해는 700명이 체험에 참여했다.
2024-09-13 온라인기사
KADIF, 'Lv4/4+ 자율주행 리빙랩 구축·운영 사업' 설명회 개최 SKT, KT, LGU+, 롯데이노베이트 등 30여 개사 참가
설명회는 2021년부터 추진된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의 Lv4/4+ 자율주행 핵심기술, 인프라 및 공공서비스 등에 대해 실·검증이 가능한 도시 단위 자율주행 리빙랩 구축 사업자를 선정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쉬-피렐리, 지능형 타이어 기술 개발 협력 안전, 승차감, 주행 역학 강화
피렐리와 보쉬는 협력을 통해 보쉬의 시스템 레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MEMS 센서에 대한 전문성과 피렐리의 사이버 타이어(Cyber Tyre) 기술, 알고리즘, 모델링 및 타이어 내 센서를 결합하기로 했다.
2024-09-12 온라인기사
팩토리얼, 2세대 전고체 배터리 ‘Solstice™’ 출시 메르세데스와 공동 개발 ··· EV 주행 거리 최대 80% 연장
솔스티스는 운영 비용, 에너지 소비 및 지속 가능한 생산을 위해 새로운 건식 코팅 공정을 이용한다. 에너지 밀도는 최대 450 Wh/kg을 목표로 하고 있다. 팩토리얼은 5년 내에 양산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SLB, 염수에서 기존 방식보다 500배 빠르게 리튬 생산 직접 리튬 추출(DLE), 농축 및 전환 기술을 통합해 대규모로 지속 가능한 생산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리튬은 스마트폰과 단거리 전기차에 사용되는 탄산리튬, 장거리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수산화리튬 등이 있다. SLB의 솔루션은 유연성이 매우 커서 이러한 모든 제품을 생산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인피니언, 300mm 파워 GaN 웨이퍼 기술 개발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자사의 대규모 실리콘 300mm 생산 라인이 신뢰할 수 있는 GaN 기술을 적용하기에 이상적이며, 이를 통해 구현을 가속화하고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SiLC, 혼다로부터 FMCW 라이다 온칩 개발 투자 유치
SiLC의 FMCW 라이다는 정확한 거리 측정으로 1km 이상 거리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여 현재 레이다와 2D/3D 비전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물체의 속도를 측정하여 시스템이 물체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2024-09-11 온라인기사
Mojo Vision과 CY Vision, microLED 기반 차량용 HUD 개발 협력
작은 크기의 microLED 디스플레이는 CY Vision이 기존 레이아웃과 완벽하게 통합되는 HUD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Mojo 디스플레이 기술은 LED 조명 LCD 디스플레이보다 5~10배 더 효율적이다.
실리콘오토, 지멘스 PAVE360 채택 ··· ADAS SoC 개발 단축
실리콘오토의 목표는 실리콘 하드웨어가 출시되기 전에 향후 출시될 ADAS(Advanced Driver-Assistance Systems) 시스템온칩(SoC)을 위한 가상 레퍼런스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2024-09-10 온라인기사
볼보, 미래 전기차 라인업 위한 단일 기술 스택 공개 향후 출시될 모델에 필요한 모든 모듈과 기능 포함 ··· 지속적인 개선 가능
볼보에 따르면, EX90 전기차는 DriveOS 소프트웨어와 공통 소프트웨어 스택을 갖춘 드라이브 오린(DRIVE Orin)을 사용하며, 향후 블랙웰(Blackwell) GPU 아키텍처 기반의 드라이브 토르 칩으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2024-09-06 온라인기사